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카를 마르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카를 마르크스는 1818년 프로이센 왕국에서 태어나 1883년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이다. 헤겔 철학, 고전 정치경제학, 프랑스 사회주의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역사적 유물론과 계급 투쟁 이론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분석하고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주장했다. 그는 《공산당 선언》, 《자본론》 등 다양한 저서를 통해 20세기 세계 정치와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등 여러 정치 이념의 토대가 되었다. 마르크스의 사상은 사회과학, 철학, 문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의 저술은 다양한 학문적 흐름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평론가 - 토마스 만
    20세기 독일의 대표적인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토마스 만은 부유한 상인 가문 출신으로 부르주아 사회의 몰락을 그린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나치 정권에 저항하며 망명 생활을 했고, 심오한 철학적 성찰과 섬세한 심리 묘사, 풍자적인 유머가 특징인 작품들로 192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독일의 평론가 - 하인리히 하이네
    하인리히 하이네는 독일 뒤셀도르프 출신의 유대계 시인이자 극작가, 비평가, 저널리스트로, 낭만주의적 감수성, 사회 비판, 풍자를 결합한 작품들을 통해 독일과 프랑스의 사회를 비판하며 수많은 작곡가에게 영감을 주었고 나치 시대에는 작품이 소각되는 등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갈등 이론 - 사회 계층
    사회 계층은 부, 소득, 사회적 지위 등 사회 경제적 요인에 따라 사람들을 분류하는 것이며, 사회적 불평등의 정도에 따라 상류층, 중산층, 하류층 등으로 나뉜다.
  • 갈등 이론 - 비판 이론
    비판 이론은 사회를 비판하고 변혁하는 사회 이론으로, 마르크스 철학을 계승하여 실증주의와 권위주의를 비판하며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나, 마르크스주의 수정주의, 정치적 지침 부재, 언어의 난해함 등의 논쟁점이 있다.
  • 조세 저항자 - 필립 K. 딕
    필립 K. 딕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 정체성 혼란, 기술 발달과 인간 소외 등 철학적 주제를 다룬 미국의 유명한 과학 소설 작가로, 그의 작품은 영화로도 제작되어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 사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조세 저항자 - 제인 제이콥스
    제인 제이콥스는 도시 계획과 경제에 대한 혁신적인 관점을 제시한 캐나다계 미국인 저술가이자 활동가로, 『미국의 대도시의 죽음과 삶』에서 혼합 용도 개발과 하향식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자동차 중심 도시 개발을 비판했으며, '거리의 눈'과 '보도의 발레' 개념을 통해 도시 안전과 활력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하여 도시 계획 및 경제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카를 마르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75년 마르크스
1875년 마르크스
이름카를 마르크스
원어 이름Karl Marx
출생 이름카를 마르크스
출생일1818년 5월 5일
출생지트리어, 프로이센 왕국, 독일 연방
사망일1883년 3월 14일
사망지런던, 잉글랜드
안장지카를 마르크스 무덤
국적프로이센 (1818–1845)
무국적 (1845년 이후)
학력본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
예나 대학교 (박사, 1841년)
배우자예니 폰 베스트팔렌
자녀최소 7명, 제니 롱게, 라우라 마르크스, 엘리너 마르크스 포함
아버지하인리히 마르크스
어머니헨리에테 프레스부르크
친척루이제 유타 (여동생)
에드가 롱게 (손자)
장 롱게 (손자)
헨리 유타 (조카)
프레데리크 필립스 (사촌)
로마자 표기Karl Marx
카를 마르크스 서명
카를 마르크스 서명
철학
시대19세기 철학
지역서양 철학
학파/전통대륙 철학
마르크스주의
주요 관심사철학
경제학
역사
정치
주요 사상마르크스주의 용어
가치 형태
변증법적 유물론 및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대한 기여
계급 투쟁
노동자의 소외 및 노동 착취
유물사관
박사 논문 제목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 철학의 차이
박사 학위 연도1841년
박사 지도교수브루노 바우어
기타 정보
영향찰스 배비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루트비히 안드레아스 포이어바흐
바뤼흐 스피노자
존 로크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막스 슈티르너
애덤 스미스
볼테르
데이비드 리카도
잠바티스타 비코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
장자크 루소
윌리엄 셰익스피어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클로드 아드리앙 엘베시우스
폴 앙리 티리 돌바크
유스투스 폰 리비히
찰스 다윈
샤를 푸리에
로버트 오언
모제스 헤스
프랑수아 피에르 기욤 기조
콩스탕탱 페쾨르
아리스토텔레스
에피쿠로스
영향받은 분야대륙 철학 계열현대 사상
구조주의
포스트 구조주의
라캉 학파
라캉주의 좌파 (자크 라캉 좌파)
1968년 5월
학생 운동
파리 코뮌
프롤레타리아 문학
프랑크푸르트 학파
비판 이론
많은 마르크스주의자
정통 마르크스주의
분석적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 경제학
수리 마르크스 경제학
마르크스주의 문예비평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 법학
프로이트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레닌주의
트로츠키즘
마오주의
좌익 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죄르지 루카치
안토니오 그람시
예브게니 파슈카니스
알랭 바디우
이와이 가쓰히토
가라타니 고진
왕립예술학회 회원영국 왕립예술학회 회원
로마자 표기법Kal Makeuseu

2. 생애

카를 마르크스는 1818년 5월 5일 프로이센 왕국 라인 주 트리어 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변호사였으며, 유대인이었으나 마르크스가 태어나기 전 개신교로 개종했다.[867] 아버지는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자유주의자였다.[868]

마르크스는 1830년 트리어 고등학교에 입학했고, 1835년 본 대학교에 입학하여 법학을 공부했다. 1836년에는 베를린 대학교 법대에 입학하여 법학을 공부하면서도 철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883][885] 헤겔 철학에 몰두하며, 청년 헤겔학파 모임인 '박사 동호회'에 가입했다.[886][887] 1841년 예나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894][895]

마르크스는 대학교수가 되려 했으나, 프로이센 정부의 탄압으로 쾰른으로 이주하여 『라인신문』에 기고하며 언론인으로 활동했다.[898] 1843년, 『라인신문』이 폐간되자 1843년 마르크스는 프랑스 파리에서 새로 창간된 급진좌파 언론 《독불연지》의 공동 편집자로 취직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844년 마르크스와 처음 만났다.


1844년 8월 28일, 마르크스는 카페 드 라 레장스에서 프리드리히 엥겔스를 처음 만났다.[910] 엥겔스는 마르크스에게 《잉글랜드 노동계급의 상황》을 보여주었고,[911][912] 노동계급이 역사의 최종 혁명의 주체이자 수단이 될 것이라고 논했다.[913]

1845년 프랑스와 독일에서 추방된 마르크스는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1845년 7월 중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잉글랜드로 가서 차티스트 운동 지도자들을 방문했다.[935]

마르크스는 엥겔스와 함께 『독일 이데올로기』를 집필하여 역사적 유물론 개념을 체계화했다.[936] 마르크스는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의 『빈곤의 철학』을 비판하는『철학의 빈곤』(1847년)을 집필했다.[940][941]

마르크스, 엥겔스, 그리고 마르크스의 딸들


마르크스는 브뤼셀에서 의인동맹과의 관계를 통해, 의인동맹이 공산주의자동맹으로 개편되는데 영향을 주었고,[945][946]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강령과 조직 원리 작성에 참여했다.[947]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47년 12월부터 1848년 1월까지 공산주의자동맹의 강령인 공산당 선언을 집필했다. 공산당 선언은 1848년 2월 21일에 공개되었으며,[948]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계급 간의 적대가 발생함을 분석하고, 공산주의자동맹이 자본주의 사회를 전복하고 사회주의 사회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951]

공산주의자동맹의 강령으로 쓰인 혁명 실천 소책자 『공산당선언』


1848년 혁명이 발발하자, 마르크스는 쾰른으로 돌아가 《신라인신문》을 발행하며 혁명에 참여했다.[958] 그러나 혁명이 실패로 돌아가고 프로이센에서 추방당했다.[961]

1849년, 마르크스는 영국 런던으로 망명하여 여생을 보냈다.[526][527] 런던에서 마르크스는 대영박물관 도서관에서 연구에 몰두하며,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지원과 기고 활동 등으로 생계를 유지했다.[542]

1864년의 뉴욕 트리뷴


1851년부터 미국 뉴욕에서 발행되던 『뉴욕 데일리 트리뷴』의 런던 통신원으로 10년간 일했다.[539]

1850년, 마르크스는 공산주의자동맹을 재결성했지만, 내부 갈등으로 1852년 해산했다.[575][577]

마르크스가 비판한 프랑스 황제나폴레옹 3세


1851년 루이 보나파르트(나폴레옹 3세)의 쿠데타 이후, 마르크스는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을 집필하여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581][582]

제1인터내셔널(국제노동자협회)의 로고


1864년, 제1인터내셔널(국제노동자협회)이 발족되자, 마르크스는 총무평의회와 기초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45][646] 인터내셔널 내에서 미하일 바쿠닌을 중심으로 한 무정부주의 세력과 권력 투쟁을 벌였다.[651]

1867년, 마르크스는 그의 평생의 역작인 『자본론』 제1권을 출간했다. 이 책에서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운동 법칙을 분석하고, 잉여가치론을 통해 자본주의적 착취의 본질을 밝혔다.[106] 『자본론』은 자본 축적의 역학을 설명함으로써 기원에서 미래까지 생산양식의 "운동 법칙"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며, 임금 노동, 작업장의 변화, 자본 축적, 경쟁, 은행 시스템, 이윤율 저하 경향 및 지대, 그리고 임금 노동이 어떻게 계속해서 자본의 지배를 재생산하는지와 같은 주제를 다룬다.

''자본론'' 1권


『자본론』 2권과 3권은 마르크스 사후 엥겔스에 의해 출판되었다.

존 메이얼(John Mayall)이 촬영한 1875년 마르크스의 사진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을 옹호하는 "프랑스 내란"을 썼다.[101]



1857년까지 자본, 토지 소유, 임금 노동, 국가 및 대외 무역, 세계 시장에 대한 800페이지가 넘는 노트와 단편 에세이를 축적했지만, 이 작품은 1939년까지 ''정치경제학 비판 개요''라는 제목으로 인쇄되지 않았다.[102][103]

1859년 마르크스는 ''정치경제학 비판에 대한 기여''를 출판했다.[104]

1882년 마르크스


마르크스는 말년에 건강이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타 강령 비판''을 쓰는 등 정치 문제에 대한 논평을 계속했다.

1881년, 아내 예니가 사망한 후 마르크스는 카타르에 걸려 건강이 악화되었다. 1883년 3월 14일, 런던에서 64세의 무국적자 신분으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런던 하이게이트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카를 마르크스의 묘비, 런던 하이게이트 공동묘지 동쪽


마르크스의 묘비에는 "만국의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라는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줄과 "철학자들은 세계를 해석하는 데만 여러 가지로 다양한 방식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문제는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2. 1. 가계 및 유년기 (1818년–1836년)

청년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1818년 5월 5일 프로이센 왕국 라인 주 트리어 시에서 변호사인 하인리히 마르크스와 헨리에테 프레스부르크 사이에서 태어났다. 마르크스 가문은 본래 유대인이었으나, 마르크스가 태어나기 전 개신교로 개종했다.[867] 아버지 하인리히는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자유주의자였으며, 볼테르와 칸트의 사상에 심취하여 프로이센 왕국의 헌법 제정과 개혁을 주장했다.[868]

마르크스의 외가는 네덜란드에서 성공한 사업가 가문이었으며, 훗날 필립스를 창업하게 된다. 외삼촌 리온 필립스는 마르크스 가족의 재정적 후원자 역할을 했다.[870]

마르크스는 1830년 트리어 고등학교(Friedrich-Wilhelm-Gymnasium (Trier))에 입학했다. 이 학교는 교장 요한 후고 비텐바흐를 비롯한 자유주의, 인문주의 성향의 교사들이 많아 프로이센 당국의 감시를 받았다. 1832년에는 경찰이 학교를 급습하여 자유주의 사상을 설파하는 교육을 문제 삼아 교직원들을 교체하기도 했다.[874]

1835년, 마르크스는 본 대학교에 입학하여 법학을 공부했다. 그러나 시인 동아리 등에서 활동하며 철학과 문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875] 또한, '트리어 주막음주향우회'(Landsmannschaft der Treveranerde)라는 동아리에서 공동총재를 맡기도 하고,[878] 1836년에는 '보루시아군단'(Borrusian Korps)이라는 동아리와의 결투에 참여하기도 했다.[879]

2. 2. 헤겔주의와 초기 저널리즘 활동 (1836년–1843년)

1836년 마르크스는 베를린 대학교 법대에 입학하여 법학을 공부하면서도 철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883][885] 당시 유럽 학계에서 활발히 논의되던 헤겔 철학에 몰두하며, 슈트랄라우에서 요양 중 청년 헤겔학파라 불리는 급진 사상가들의 모임인 '박사 동호회(Doktorklub|독토르클루프de)'에 가입했다.[886][887]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브루노 바우어 등이 속한 청년 헤겔학파는 헤겔의 형이상학에는 비판적이었으나, 변증법을 통해 기성 사회, 정치, 종교를 좌익적 관점에서 비판하고자 했다.[887]

1841년, 마르크스는 역사법학파 철학선언이라는 박사 학위 논문을 완성했다.[892] 이 논문에서 신학이 철학에 지혜의 상석을 양보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베를린 대학교의 보수적인 교수들과 마찰을 빚었다.[893] 결국 예나 대학교에 논문을 제출하여 1841년 4월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894][895]

마르크스는 대학교수가 되려 했으나, 프로이센 정부가 자유주의와 청년 헤겔주의를 탄압하면서 그 길이 막혔다.[897] 1842년 쾰른으로 이주하여 급진적인 성향의 『라인신문』에 기고하며 언론인으로 활동했다.[898] 그는 이 신문에서 유럽 우익 정부뿐 아니라 자유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의 무능함까지 비판했다.[898] 『라인신문』은 프로이센 당국의 검열 대상이었고, 마르크스는 "경찰이 우리 신문에 코를 박고 킁킁대서, 무엇이든 반기독교, 반프로이센적인 냄새를 맡게 되면 신문을 아예 낼 수가 없다네."라고 탄식했다.[899] 결국 1843년, 『라인신문』이 러시아 군주제를 비판하는 기사를 싣자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1세의 요구로 프로이센 정부에 의해 폐간되었다.[900]

2. 3. 파리 망명과 엥겔스와의 만남 (1843년–1845년)

1843년 마르크스는 프랑스 파리에서 새로 창간된 급진좌파 언론 《독불연지》의 공동 편집자로 취직했다. 마르크스는 이 지면에 〈헤겔 법철학 비판을 위한 서설〉,[904] 〈유대인 문제에 대하여〉를 기고했다.[905] 이 중 후자에서 프롤레타리아가 혁명의 동력이라는 신념을 소개하며 공산주의에 관한 수용을 본격화했다.[906]

1844년 8월 28일, 마르크스는 카페 드 라 레장스에서 후일 평생의 동지이자 후원자가 되는 프리드리히 엥겔스를 처음 만났다.[910] 엥겔스는 마르크스에게 자기가 최근 출간한 《잉글랜드 노동계급의 상황》을 보여주었고,[911][912] 노동계급이 역사의 최종 혁명의 주체이자 수단이 될 것이라고 논했다.[913] 곧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서로 마음이 맞아 마르크스의 옛 친구인 브루노 바우어를 공격하는 데 합작했다. 그 결과물은 1845년성가족》으로 출간되었다.[914][915] 마르크스는 막스 슈티르너루트비히 포이어바흐 같은 청년 헤겔학파에게 큰 영향을 받았지만, 결국 엥겔스와 함께 포이어바흐 유물론마저 등지게 되었다.[916]

2. 4. 브뤼셀 망명과 공산주의자동맹 (1845년–1848년)

1845년 프랑스와 독일에서 추방된 마르크스는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브뤼셀에서는 정치 관련 글을 쓰지 않겠다는 서약을 해야 했다. 브뤼셀에는 유럽 각지에서 망명 온 사회주의자들(모제스 헤스, 카를 하인첸, 요제프 바이데마이어 등)이 많았고, 마르크스는 그들과 교류했다. 같은 해 4월,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독일 바르멘에서 브뤼셀로 와 마르크스와 합류했고, 의인동맹 간부단도 브뤼셀을 새 본부로 삼으려 했다.[930]

1845년 7월 중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잉글랜드로 가서 차티스트 운동 지도자들을 방문했다. 엥겔스는 이미 1842년부터 1844년까지 맨체스터에 머물며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했고, 차티스트 운동가들과도 친분을 쌓고 있었다.[932][933][934] 마르크스는 이 여행을 통해 런던과 맨체스터의 도서관에서 경제학 자료를 연구했다.[935]

마르크스는 엥겔스와 함께 『독일 이데올로기』를 집필하여 역사적 유물론 개념을 체계화했다.[936] 이 책에서 마르크스는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브루노 바우어, 막스 슈티르너 등 청년 헤겔학파와 그룬 등 관념론에 기반한 사회주의자들과의 결별을 선언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유물론만이 역사를 유일하게 추동하는 힘이라고 주장했다.[937] 『독일 이데올로기』는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형태로 쓰였지만 검열을 피하지 못했고, 1932년에야 초판이 출간되었다.[938]

『독일 이데올로기』를 완성한 후, 마르크스는 '과학적 유물론 철학'의 관점에서 '혁명적 무산자 운동'의 '이론과 전술'을 명확히 하는 작업에 착수했다.[939] 이는 공상적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의 과학적 사회주의 철학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다. 마르크스는 노동자 개개인이 아닌 노동계급 전체가 혁명을 일으켜 사회를 변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철학의 빈곤』(1847년)을 집필하여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의 『빈곤의 철학』을 비판했다.[940][941]

마르크스는 브뤼셀에서도 의인동맹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의인동맹이 노동계급혁명을 이끌 수 있는 단체로 변모해야 한다고 생각했다.[942][943] 즉, 비밀결사에서 공개적인 "정당"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었다.[944] 1847년 6월, 의인동맹은 공산주의자동맹으로 개편되었고,[945][946]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강령과 조직 원리 작성에 참여했다.[947]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47년 12월부터 1848년 1월까지 공산주의자동맹의 강령인 공산당 선언을 집필했다. 공산당 선언은 1848년 2월 21일에 공개되었으며,[948] 공산주의자동맹이 비밀결사가 아니고 공개적인 대중행동을 목표로 함을 천명했다.[949] 공산당 선언의 첫 줄은 '지금까지 존재했던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다.'였다.[950] 공산당 선언은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계급 간의 적대가 발생함을 분석하고, 공산주의자동맹이 자본주의 사회를 전복하고 사회주의 사회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951]

1846년 2월, 마르크스는 엥겔스 등과 함께 런던의 독일인 공산주의자 비밀 결사 정의자동맹과의 연락 조직인 “공산주의 통신 위원회”를 브뤼셀에 설립하였다.[438][439][440] 그러나 마르크스의 조직 운영은 독재적이라고 비판받았고, 설립 직후 빌헬름 바이트링과 헤르만 크리게(Hermann Kriege)를 제명하는 등, “민주적인 독재자”라는 악명을 얻게 된다.[441][442]

1847년 1월, 런던 정의자동맹의 막시밀리안 요제프 몰(Maximilien Joseph Moll)이 마르크스를 찾아와 두 조직을 합병할 것을 제안했다. 마르크스는 이를 허락하고, 6월 런던에서 열린 대회에서 공산주의 통신 위원회는 정의자동맹과 합병하여 국제 비밀 결사 공산주의자동맹 (1847년)을 결성하기로 공식적으로 결의했다.[444][445] 마르크스는 공산주의자동맹 브뤼셀 지부장이 되었고,[446] 11월 런던에서 열린 제2차 대회에서 강령 작성을 일임받아 1848년 2월 혁명 직전까지 소책자 『공산당선언』을 완성했다.[447][448] 엥겔스와의 공저로 되어 있지만, 거의 마르크스가 혼자 쓴 것이었다.[449]

『공산당선언』은 “유럽을 배회하는 한 마리의 유령이 있다. 공산주의라는 이름의 유령이”라는 유명한 서문으로 시작한다. 이어 제1장 서두에서 “지금까지 존재했던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이다”라고 정의하고, 제1장과 제2장에서 프롤레타리아가 공산주의 혁명으로 부르주아를 타도하는 것은 역사적 필연성이라고 주장한다.[450][451]

2. 5. 1848년 혁명과 쾰른 복귀 (1848년–1849년)

마르크스는 파리에 잠시 머무르면서 공산주의자동맹 본부를 파리로 옮기고, 파리에 살던 독일인 사회주의자들을 규합해 독일노동자동호회를 설립했다.[955] 혁명이 독일에까지 번지기를 기대하며 1848년 쾰른으로 돌아가 〈독일에서의 공산당의 요구〉라는 찌라시를 돌리고 다녔다.[956] 여기서 마르크스는 《공산당 선언》의 열 가지 요지 중 네 가지만 발췌, 재인용하여 혁명을 선동했다. 독일에서 프롤레타리아가 부르주아를 전복시키고 혁명을 일으키려면, 우선 독일 부르주아들이 봉건 군주제와 귀족제를 전복시키는 시민혁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957]

1848년 6월 1일, 마르크스는 아버지의 유산을 털어 《신라인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마르크스는 이 신문을 통해 유럽 전역의 사건들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내놓았다. 주필이자 대기자로서 신문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엥겔스의 회고에 따르면 《신라인신문》은 그야말로 마르크스 독재였다.[958][959]

마르크스를 비롯한 혁명가들은 경찰에 정기적으로 괴롭힘을 당했고, 마르크스는 여러 번 기소되었다. 마르크스가 기소된 혐의는 검사장 모욕죄, 언론지상 경범죄, 조세 거부 및 무장반란 선동죄 등이었는데, 모두 무혐의로 풀려났다.[960] 한편, 혁명으로 수립되었던 프로이센의 민주주의 의회가 붕괴하고,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새 내각을 반동주의자들로 채워 반혁명 정책을 실시했다. 좌익을 비롯한 혁명분자들은 프로이센에서 숙청되었다. 마르크스도 예외는 아니었고, 《신라인신문》은 폐간되었으며, 마르크스는 5월 16일 추방령을 받았다.[961]

2. 6. 런던 망명과 국제노동자협회 (1849년–1864년)

1849년 8월 27일, 마르크스는 영국으로 건너갔다. 영국은 마르크스가 여생을 보낸 곳이지만, 처음에는 일시적인 피난처로 생각했다.[526][527] 런던에 도착한 직후, 마르크스는 캠버웰에 좋은 집을 구했지만, 집세를 낼 수 없어 1850년 4월에 압류당했다.[528] 그 후 마르크스 가족은 런던 소호 딘 스트리트 28번지의 방 두 칸을 빌려 살았다.[529][530][531]

마르크스가 살았던 딘 스트리트 28번지 주택. 마르크스의 블루 플라크가 있다.


당시 프로이센 경찰이 런던에 파견한 스파이의 보고서에 따르면, 마르크스의 집은 낡고 더러웠으며, 가구는 멀쩡한 것이 하나도 없었다. 방 안은 먼지와 담배 연기로 가득했고, 의자 다리가 부러져 앉기조차 위험했다.[532][533] 소호 주변은 비위생적이어서 질병이 유행했고, 마르크스 가족의 아이들 중 세 명이 이 시기에 사망했다.[534] 마르크스는 장례식 비용조차 마련할 수 없었다.[535][536][537]

마르크스는 매일 대영박물관 도서관에서 오전 9시부터 저녁 7시까지 공부했다.[538] 생계는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정기적인 지원과 친구들의 도움, 빚, 전당포, 그리고 미국 신문 기고 등으로 유지했다.[542] 1850년대 대부분 동안 마르크스 가족은 제대로 된 식사를 할 수 없었고, 옷을 전당포에 맡기고 침대에 들어가 추위를 피하기도 했다.[539][543]

1851년 가을부터 마르크스는 미국 뉴욕에서 발행되던 급진적인 신문인 『뉴욕 데일리 트리뷴』의 런던 통신원으로 일했다.[539] 원고료는 처음에는 기사당 1파운드였으나, 1854년 이후 감소했다.[539][557] 마르크스는 영어가 서툴렀기 때문에 엥겔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558] 마르크스는 미국에 대한 애정을 담은 기사를 썼고, 미국인들로부터 좋은 평판을 얻었다.[559] 마르크스와 『뉴욕 트리뷴』의 관계는 10년 동안 지속되었지만, 1861년 미국 남북 전쟁 발발로 인해 해고되었다.[560]

1849년 가을 이후, 공산주의자동맹 구성원들이 런던으로 망명해 왔다. 마르크스는 그들을 규합하여 1850년 3월 공산주의자동맹을 재결성했다.[561][562][563] 초기에는 혁명이 다시 일어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가졌지만, 1850년 여름 이후 혁명의 불길이 사그라들면서 마르크스는 즉각적인 행동을 포기하라고 호소했다.[568][569] 그러나 공산주의자동맹 내부에는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아우구스트 빌리히를 중심으로 반(反)마르크스파가 형성되어 큰 균열이 생겼다.[570][571]

1850년 9월, 마르크스파가 간신히 승리했지만, 빌리히 지지자들이 많아 갈등이 깊어졌다. 마르크스는 공산주의자동맹 본부를 쾰른으로 옮기려 했으나 실패했다.[572] 1851년 5월, 공산주의자동맹의 주요 구성원 11명이 체포되었고, 1852년 10월 법정에서 7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쾰른 공산당 사건).[574][575][577][578][579] 마르크스는 1852년 11월 공산주의자동맹 해산을 결의했고, 이후 10년 이상 조직 활동에서 멀어졌다.[575][577]

1851년 12월, 루이 보나파르트(나폴레옹 3세)는 쿠데타를 일으켜 독재 체제를 수립했다.[580] 마르크스는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을 집필하여 쿠데타의 원인을 분석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581][582]

1860년대 노동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노동자들의 국제 연대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1864년 9월 28일, 런던에서 제1인터내셔널(국제노동자협회)이 발족되었다.[643] 마르크스는 총무평의회와 기초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45][646] 마르크스는 규약 제정에 참여하여 주세페 마치니와 로버트 오웬의 주장을 거부하고, 노동 계급 해방과 계급 지배 철폐를 목표로 하는 규약을 채택했다.[648][650]

인터내셔널 내에서 마르크스는 노동조합주의와 무정부주의 세력과 권력 투쟁을 벌였다.[651] 특히 미하일 바쿠닌은 인터내셔널을 중앙집권 조직이 아닌 지방 단체들의 집합체로 만들려 했고, 유대인 음모론을 통해 마르크스를 비판했다.[700][702][703][704] 1872년 9월, 마르크스는 바쿠닌을 인터내셔널에서 추방하는 데 성공했다.[706][707]

2. 7. 『자본론』 집필과 말년 (1864년–1883년)

1867년, 마르크스는 그의 평생의 역작인 『자본론』 제1권을 출간했다.[106] 이 책에서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운동 법칙을 분석하고, 잉여가치론을 통해 자본주의적 착취의 본질을 밝혔다.[106] Das Kapitalde는 자본 축적의 역학을 설명함으로써 기원에서 미래까지 생산양식의 "운동 법칙"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며, 임금 노동, 작업장의 변화, 자본 축적, 경쟁, 은행 시스템, 이윤율 저하 경향 및 지대, 그리고 임금 노동이 어떻게 계속해서 자본의 지배를 재생산하는지와 같은 주제를 다룬다. 마르크스는 자본의 원동력이 착취에 있다고 주장하며, 지불받지 않은 노동이 잉여가치의 궁극적인 원천이라고 주장한다.

Das Kapitalde의 러시아어판에 대한 수요는 곧 러시아어로 된 3,000부의 책 인쇄로 이어졌고, 1872년 3월 27일에 출판되었다. 1871년 가을까지 독일어판 Das Kapitalde의 첫 번째 판 전체가 매진되었고 두 번째 판이 출판되었다.

Das Kapitalde 2권과 3권은 마르크스가 생애의 남은 기간 동안 계속 작업했던 단순한 원고로 남았다. 두 권 모두 마르크스 사후 엥겔스에 의해 출판되었다. Das Kapitalde 2권은 1893년 7월 엥겔스에 의해 ''자본 2: 자본 순환 과정''이라는 제목으로 준비되어 출판되었고,[107] Das Kapitalde 3권은 1년 후인 1894년 10월 ''자본 3: 자본주의 생산 과정 전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108] ''잉여가치론''은 광범위한 ''1861-1863년 경제학 원고''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Das Kapitalde의 "두 번째" 초고이며, 후자는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전집'' 30~34권에 걸쳐 있다.

마르크스는 자신이 기고하는 ''뉴욕 데일리 트리뷴''(New York Daily Tribune)의 편집 방침이 여전히 진보적이라고 확신하는 한, 계속해서 기사를 작성했다. 그러나 1861년 후반 찰스 다나(Charles Dana)가 신문을 떠나면서 편집부에 변화가 생겼고, 새로운 편집 방침이 도입되었다.[100] 더 이상 ''트리뷴''은 미국 연방의 완전한 승리를 위해 헌신하는 강력한 폐지론 신문이 아니었다. 새로운 편집부는 미국 남북 전쟁에서 연방과 남부 연합 간의 즉각적인 평화를 지지했고, 남부 연합에서는 노예 제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새로운 정치적 입장에 강하게 반대했고, 1863년에는 ''트리뷴''의 필자직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1864년, 마르크스는 국제노동자협회(제1인터내셔널)에 참여하여 총평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이 조직에서 마르크스는 미하일 바쿠닌을 중심으로 한 아나키스트 계열과의 사상 투쟁을 벌였다. 비록 이 투쟁에서 승리했지만, 마르크스가 지지했던 1872년 런던에서 뉴욕으로 총평의회 본부 이전은 인터내셔널의 쇠퇴로 이어졌다.

제1인터내셔널 활동 기간 중 가장 중요한 정치적 사건은 1871년 파리 코뮌이었다. 파리 시민들이 정부에 반란을 일으켜 두 달 동안 도시를 장악했고, 마르크스는 이들의 봉기를 옹호하는 "프랑스 내란"이라는 소책자를 썼다.[101]

마르크스는 반복되는 노동자 혁명의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면서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대한 비판을 더욱 깊이 연구하고자 대영박물관 열람실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1857년까지 자본, 토지 소유, 임금 노동, 국가 및 대외 무역, 세계 시장에 대한 800페이지가 넘는 노트와 단편 에세이를 축적했지만, 이 작품은 1939년까지 ''정치경제학 비판 개요''라는 제목으로 인쇄되지 않았다.[102][103]

1859년 마르크스는 그의 첫 번째 심각한 정치 경제 비판인 ''정치경제학 비판에 대한 기여''를 출판했다.[104] 이 작품은 ''자본론''의 예고편에 불과했다. ''정치경제학 비판에 대한 기여''에서 마르크스는 경제 사고의 공리와 범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105][106] 이 작품은 열렬한 환영을 받았고, 판매가 빠르게 매진되었다.

마르크스는 말년에 건강이 악화되어 지속적인 연구 활동이 어려워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당대 정치 문제, 특히 독일과 러시아의 상황에 대해 논평을 계속했다. 그는 빌헬름 리프크네히트와 아우구스트 베벨이 페르디난트 라살의 국가 사회주의 사상과 타협하려는 경향에 반대하며 ''고타 강령 비판''을 썼다. 이 작품은 "각자의 능력에 따라, 각자의 필요에 따라"라는 유명한 구절로도 알려져 있다.

1881년 3월 8일 베라 자수리치에게 보낸 편지에서 마르크스는 러시아가 자본주의 발전 단계를 거치지 않고 마을 공동체의 토지 공유를 기반으로 공산주의를 건설할 가능성을 고려했다. 그러나 그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핵심에는 … 생산자와 생산 수단의 완전한 분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1881년 12월, 아내 예니가 사망한 후 마르크스는 카타르에 걸려 건강이 악화되었다. 이는 기관지염과 흉막염으로 이어져 1883년 3월 14일, 런던에서 64세의 무국적자 신분으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1883년 3월 17일 런던 하이게이트 공동묘지(동쪽)의 불가지론자와 무신론자들을 위한 구역에 안장되었다.

빌헬름 리프크네히트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를 포함한 그의 가장 친한 친구 몇 명이 장례식에서 연설했다. 엥겔스는 "3월 14일 오후 2시 45분, 가장 위대한 사상가가 생각을 멈추었다."라고 말했다.

마르크스의 생존 딸인 엘레노어와 로라, 그리고 마르크스의 두 프랑스 사회주의 사위인 샤를 롱게와 폴 라파르그도 참석했다. 그는 아내와 장녀보다 먼저 사망했는데, 장녀는 몇 달 전인 1883년 1월에 사망했다. 리프크네히트는 독일어로 연설했고, 롱게는 프랑스어로 짧은 성명을 발표했다.

마르크스는 상속 재산으로 250파운드를 남겼는데,[124] 2024년 기준으로 38,095파운드에 해당한다.[125] 1895년 자신의 사망 후, 엥겔스는 마르크스의 두 생존 딸에게 상당한 재산의 "상당 부분"을 남겼는데, 2024년 기준으로 6800000USD에 해당한다.

마르크스와 그의 가족은 1954년 11월 근처의 새로운 장소에 다시 매장되었다. 1956년 3월 14일에 공개된 새로운 장소의 묘비에는 "만국의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라는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줄과 "철학자들은 세계를 해석하는 데만 여러 가지로 다양한 방식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문제는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3. 사상

마르크스의 사상은 헤겔 변증법, 프랑스 사회주의, 영국 고전경제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923] 그는 역사적 유물론을 통해 물질적 생산력이 사회 구조와 역사 발전의 원동력임을 주장했다. 계급투쟁을 역사의 핵심 동력으로 파악하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한 공산주의 사회 건설의 필연성을 주장했다. 인간 소외론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가 자신의 노동과 생산물로부터 소외되는 현상을 비판했고, 잉여가치론을 통해 자본주의적 착취가 노동자의 잉여노동을 자본가가 무상으로 점유하는 데서 발생함을 밝혔다.

1843년 마르크스는 파리에서 독불연지의 공동 편집자로 일하면서 〈헤겔 법철학 비판을 위한 서설〉, 〈유대인 문제에 대하여〉를 기고하며 프롤레타리아가 혁명의 동력이라는 신념을 소개하며 공산주의에 관한 수용을 본격화했다.[906] 1844년 8월 28일, 프리드리히 엥겔스를 처음 만나, 《잉글랜드 노동계급의 상황》을 통해 노동계급이 역사의 최종 혁명의 주체이자 수단이 될 것이라는 엥겔스의 주장에 공감하며, 함께 《성가족》을 출간하며 협력했다.[914][915]

마르크스는 정치경제학과 프랑스 사회주의, 프랑스 역사를 파고들었다.[918][919][920] 정치경제학 연구는 훗날 3권짜리 대표작 《자본론》으로 이어진다.[921][922] 마르크스주의는 헤겔 변증법, 프랑스 공상적 사회주의, 영국 고전경제학에 영향을 받았다.[923]

1844년 마르크스는 《경제학 철학 초고》를 저술하며 소외노동의 개념을 구체화했고,[926] 1845년 봄, 과학적 사회주의가 유물론적 세계관 위에 건설되어야 한다는 믿음을 가지게 되었다.[927] 《경제학 철학 초고》를 퇴고하던 중 포이어바흐 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깨닫고, 역사적 유물론 완성을 위해 포이어바흐 유물론과의 단절을 추구하며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를 작성한다.[928] 이 〈테제〉에서 세계는 관념이 아닌, 실제의, 물리적인, 물질적인 활동과 실천으로만 변화된다는 역사적 유물론의 첫 번째 편린이 소개된다.

1845년,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독일 이데올로기》를 통해 역사적 유물론 개념에 관한 그의 최고의 저작으로 여겨진다.[936] 여기서 마르크스는 포이어바흐, 바우어, 슈티르너 등 청년 헤겔학파 및 관념론 기반의 사회주의자들과의 완전한 단절을 선언한다. 《독일 이데올로기》에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오로지 유물적인 것이 역사를 유일하게 추동하는 힘이라는 자신들의 철학을 마침내 완성했다.[937]

《독일 이데올로기》를 완성한 마르크스는 '진실로 과학적인 유물론 철학'의 견지에서 작동하는 '혁명적 무산자 운동'의 '이론과 전술'에 관한 자기 위치를 분명히 하는 작업을 시작했다.[939] 《독일 이데올로기》와 《철학의 빈곤》은 〈공산당 선언〉의 토대를 놓은 준비운동이었다.[942]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47년 12월부터 1848년 1월에 걸쳐 〈공산당 선언〉을 공저했다. 1848년 2월 21일 공개된 〈공산당 선언〉은 공산주의자동맹이 공개적인 대중행동을 목표로 삼을 것을 천명했다.[948][949] 〈공산당 선언〉의 첫 줄은 '지금까지 존재했던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다.'[950]라고 하며,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이해가 서로 충돌하기에 상호 계급간의 적대가 발생함을 분석한다.

마르크스는 《신라인신문》을 통해 유럽 전역의 사건들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내놓았다.[958] 마르크스 등 혁명가들은 경찰에 정기적으로 괴롭힘을 당했고, 여러 번 기소되었지만 모두 무혐의로 풀려났다.[960]

1864년, 마르크스는 제1인터내셔널에 참여하여, 초기 총평의회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 바쿠닌을 중심으로 한 무정부주의자들과 내부 투쟁에서 승리했지만, 1872년 총평의회 소재지를 런던에서 뉴욕으로 옮긴 이후 제1인터내셔널은 쇠락하기 시작했다. 1871년 파리 코뮌에 대해, 마르크스는 〈프랑스 내전〉을 써서 코뮌측을 옹호했다.[981]

1859년 마르크스는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를 출간했다.[984] 이 책은 훗날 완성될 《자본론》의 예고편 정도의 의도로 쓰여졌으며, 데이비드 리카도의 노동가치설을 수용, 확장했다. 초판은 빠르게 매진되었다.[985]

《정치경제학 비판》의 성공에 고무된 마르크스는 1860년대 초부터 3권짜리 《자본론》과 《잉여가치론》을 쓰기 시작한다. 《잉여가치론》은 애덤 스미스데이비드 리카도 등 정치경제이론가들에 대해 논하며, 《자본론》 제4권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1867년, 《자본론 제1권》이 출간되어 자본주의의 생산과정을 분석했다. 토머스 호지스킨의 영향을 받은 노동가치설을 정교하게 제시하고, 잉여가치와 착취의 개념을 설명하며, 이것이 궁극적으로 이윤율 급락으로 이어져 산업자본주의를 붕괴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본론 제2권》과 《자본론 제3권》은 마르크스 사후 엥겔스가 출간했다. 《잉여가치론》은 《자본론》의 "제2원고"였던 《1861년-1863년 경제학 원고》에서 파생되었다.

생애 마지막 10여 년간 건강이 악화된 마르크스는 저술활동에 몰두할 수 없게 되었다. 독일과 러시아의 상황에 관해 논평하는 정도의 활동만 간간히 했다. 1875년에 쓴 〈고타 강령 비판〉은 빌헬름 리프크네히트와 아우구스트 베벨의 국가사회주의와의 합작에 반대한 서한이다. '능력 있는 사람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라는 말도 이 문건에서 등장한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44년 재회 이후 절친한 벗으로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지만, 마르크스와 엥겔스 사상의 차이점을 지적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3. 1. 철학

헤겔의 관념론적 변증법은 포이어바흐의 영향을 받아 유물론적으로 재구성되었다. 마르크스는 헤겔 철학의 관념적 입장에서 벗어나, 포이어바흐의 인본주의적 입장에 서서 물질적 생산 관계가 사회의식과 역사를 규정한다고 보았다.[353][354]

루트비히 포이어바흐(Ludwig Feuerbach)

마르크스는 그에게서 인간주의적 유물론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의 인간관이 경제적 기반에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마르크스는 1843년에 변증법과 시민 사회 계급의 대립 등의 사회과학적 개념만을 계승하였다.[353][354]

마르크스는 인간 본성을 유적존재(Gattungswesen|가퉁스베젠de)로 규정하고,[851] 노동을 통해 자신을 실현하는 존재로 파악했다. 마르크스는 사회과학에서 비판방법론을 제대로 사용한 첫 번째 인물'로 평가받는다.

3. 2. 사회학

마르크스는 사람과 그 사람의 노동력 사이의 관계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그는 소외 문제라는 측면에서 이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변증법과 마찬가지로 마르크스는 헤겔의 소외 개념으로부터 시작했지만 더욱 유물론적인 개념을 발전시켰다. 자본주의는 시장에서 매매되는 노동을 포함한 상품을 통해 생산의 사회적 관계(노동자들 간 또는 노동자와 자본가 간)를 매개한다. 마르크스에게 있어 자신의 노동, 즉 세상을 변화시키는 능력에 대한 소유권을 포기하는 것은 자신의 본성으로부터 소외되는 것과 같으며 정신적 손실이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손실을 상품 숭배로 묘사했는데, 이는 사람들이 생산하는 것, 즉 상품이 마치 스스로 움직이고 살아있는 것처럼 보이고 인간과 그들의 행동은 단지 그에 적응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상품 숭배는 엥겔스가 "허위 의식"이라고 부른 것의 한 예이다.[145] 이는 이데올로기 이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데올로기"를 특정 시대의 특정 계급의 이익을 반영하는 사상이지만, 동시대인들은 보편적이고 영원한 것으로 보는 사상으로 이해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요점은 그러한 신념이 중요한 정치적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최소한 반쪽 진실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한 계급이 생산 수단에 대해 행사하는 통제는 식량이나 제조품의 생산뿐만 아니라 사상의 생산도 포함한다는 것이다(이는 하위 계급의 구성원이 자신의 이익에 반하는 사상을 갖는 이유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형의 분석의 한 예로 종교에 대한 마르크스의 이해가 있는데, 이는 1843년 그의 ''헤겔의 법철학 비판 서설''[146]에 나오는 구절에 요약되어 있다.

김나지움 졸업 논문에서 종교의 주요 사회적 목표는 연대를 증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여기서 마르크스는 종교의 사회적 기능을 정치적, 경제적 현상 유지 및 불평등을 강조하고 유지하는 측면에서 본다.

마르크스는 아동 노동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했으며,[147] 영국 산업이 "피를 빨아먹고, 아이들의 피까지 빨아먹어서만 살 수 있다"고 말했고, 미국의 자본은 "자본화된 아이들의 피"로 조달되었다고 말했다.[130][148]

3. 3. 경제학

마르크스의 노동사상은 그가 사회의 과거, 현재, 미래를 결정하는 것은 경제적 관계(경제결정론)라고 우선순위를 부여한 것과 관계가 있다. 자본축적이 사회체제를 빚어낸다. 마르크스에게 있어서 사회변혁이란 서로 상충되는 이해관계들 간의 갈등에 의한 것이며, 그 충돌은 경제적 힘에 의해 추동되는 것이다. 이것은 소위 갈등이론의 근간이 되는 발상이다. 마르크스의 역사진화론에 따르면, 인간의 역사가 시작되며 자유롭고 생산적이며 창조적인 과업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제적이고 탈인간적인 것으로 바뀌었으며, 자본주의 체제는 그 경향의 첨단이다. 마르크스는 이것이 의도적인 과정이 아니며, 개인이나 심지어 국가조차 이 경제의 힘에 거스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사회의 조직은 생산수단에 의존적이다. 생산수단이란 물질적 재화를 생산하기 위한 필요조건들 중 인간의 노동을 제외한 모든 것들, 즉 토지, 천연자원, 과학기술 같은 것들이다. 생산관계란 인간들이 이 생산수단을 취득하고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다. 이 두 가지가 조합됨으로써 생산양식이 정의되며, 마르크스는 이 생산양식의 변천에 따라 역사시대를 구분한다. 마르크스는 토대와 상부구조를 구분하는데, 토대 또는 하부구조란 경제체제이며 상부구조란 문화정치체제이다. 마르크스는 경제적 토대와 사회적 상부구조의 괴리가 사회의 분열과 갈등의 주원인이라고 진단했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비판을 강조하고 그것을 대체할 공산주의 사회의 도래를 논했지만, 적어도 자본제 사회가 과거의 사회(노예제봉건제 사회)들보다는 진보된 것임을 인정했다. 마르크스는 윤리학에 관해서는 명징한 언설을 내놓은 적이 없지만, 학자들은 마르크스의 저술들이 도덕과 정의의 개념에 관해서도 논리적 귀결을 내놓고 있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마르크스는 자신이 기고하는 ''뉴욕 데일리 트리뷴''(New York Daily Tribune)의 편집 방침이 여전히 진보적이라고 확신하는 한, 계속해서 기사를 작성했다. 그러나 1861년 후반 찰스 다나(Charles Dana)가 신문을 떠나면서 편집부에 변화가 생겼고, 새로운 편집 방침이 도입되었다.[100] 더 이상 ''트리뷴''은 완전한 연방 승리를 위해 헌신하는 강력한 폐지론 신문이 아니었다. 새로운 편집부는 미국 남북 전쟁에서 연방과 남부 연합 간의 즉각적인 평화를 지지했고, 남부 연합에서는 노예 제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새로운 정치적 입장에 강하게 반대했고, 1863년에는 ''트리뷴''의 필자직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1864년 마르크스는 국제노동자협회(제1인터내셔널)에 참여했다. 1864년 창립 당시 총평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이 조직에서 마르크스는 미하일 바쿠닌을 중심으로 한 아나키스트 계열과의 투쟁에 참여했다. 마르크스가 이 투쟁에서 승리했지만, 마르크스가 지지했던 1872년 런던에서 뉴욕으로 총평의회 본부 이전은 인터내셔널의 쇠퇴로 이어졌다. 인터내셔널이 존재하는 동안 가장 중요한 정치적 사건은 1871년 파리 코뮌이었다. 파리 시민들이 정부에 반란을 일으켜 두 달 동안 도시를 장악했다. 이 반란의 유혈 진압에 대한 대응으로 마르크스는 그의 가장 유명한 소책자 중 하나인 "프랑스 내란"을 썼는데, 이는 코뮌을 옹호하는 글이었다.

노동자 혁명과 운동의 반복적인 실패와 좌절을 고려하여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대한 적절한 비판을 이해하고 제공하려고 노력했으며, 대영박물관 열람실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연구했다. 1857년까지 마르크스는 자본, 토지 소유, 임금 노동, 국가 및 대외 무역, 세계 시장에 대한 800페이지가 넘는 노트와 단편 에세이를 축적했지만, 이 작품은 1939년까지 ''그룬트리세''라는 제목으로 인쇄물로 등장하지 않았다.

1859년 마르크스는 그의 첫 번째 심각한 정치 경제 비판인 ''정치경제학 비판에 대한 기여''를 출판했다. 이 작품은 나중에 출판할 의도였던 3권으로 구성된 ''자본론''(영어 제목: ''자본: 정치 경제학 비판'')의 예고편에 불과했다. ''정치경제학 비판에 대한 기여''에서 마르크스는 경제 사고의 공리와 범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열렬한 환영을 받았고, 판매가 빠르게 매진되었다.

''정치경제학 비판에 대한 기여''의 성공적인 판매는 1860년대 초 마르크스가 그의 주요 평생 작업인 3권의 방대한 저서 — Das Kapitalde — 과 정치 경제 이론가들, 특히 애덤 스미스데이비드 리카도를 논의하고 비판한 ''잉여가치론''을 완성하도록 자극했다. ''잉여가치론''은 종종 Das Kapitalde의 4권으로 언급되며 경제 사상사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인 논문 중 하나를 구성한다. 1867년 자본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Das Kapitalde 1권이 출판되었다. Das Kapitalde는 자본 축적의 역학을 설명함으로써 기원에서 미래까지 생산양식의 "운동 법칙"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며, 임금 노동의 성장, 작업장의 변화, 자본 축적, 경쟁, 은행 시스템, 이윤율 저하 경향 및 지대, 그리고 임금 노동이 어떻게 계속해서 자본의 지배를 재생산하는지와 같은 주제를 다룬다. 마르크스는 자본의 원동력이 착취에 있다고 주장하며, 지불받지 않은 노동이 잉여가치의 궁극적인 원천이라고 주장한다.

Das Kapitalde의 러시아어판에 대한 수요는 곧 러시아어로 된 3,000부의 책 인쇄로 이어졌고, 1872년 3월 27일에 출판되었다. 1871년 가을까지 독일어판 Das Kapitalde의 첫 번째 판 전체가 매진되었고 두 번째 판이 출판되었다.

Das Kapitalde 2권과 3권은 마르크스가 생애의 남은 기간 동안 계속 작업했던 단순한 원고로 남았다. 두 권 모두 마르크스 사후 엥겔스에 의해 출판되었다. Das Kapitalde 2권은 1893년 7월 엥겔스에 의해 ''자본 2: 자본 순환 과정''이라는 제목으로 준비되어 출판되었다. Das Kapitalde 3권은 1년 후인 1894년 10월 ''자본 3: 자본주의 생산 과정 전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잉여가치론''은 광범위한 ''1861-1863년 경제학 원고''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Das Kapitalde의 "두 번째" 초고이며, 후자는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전집'' 30~34권에 걸쳐 있다. 특히 ''잉여가치론''은 후자의 ''전집'' 30권의 후반부부터 32권의 끝까지 이어진다. 한편, 더 큰 ''1861-1863년 경제학 원고''는 ''전집'' 30권의 시작부터 34권의 전반부까지 이어진다. ''전집'' 34권의 후반부는 Das Kapitalde의 "세 번째" 초고를 나타내는 ''1863-1864년 경제학 원고''의 남은 단편으로 구성되며, 그 대부분은 펭귄판 Das Kapitalde 1권의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다. ''잉여가치론''의 독일어 축약판은 1905년과 1910년에 출판되었다. 이 축약판은 영어로 번역되어 1951년 런던에서 출판되었지만, ''잉여가치론''의 완전한 무삭제판은 1963년과 1971년 모스크바에서 Das Kapitalde의 "4권"으로 출판되었다.

마르크스의 생애 마지막 10년 동안 그의 건강은 악화되었고, 이전 작업을 특징지었던 지속적인 노력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는 특히 독일과 러시아의 현대 정치에 대해 상당한 논평을 남겼다. 그의 ''고타 강령 비판''은 추종자들인 빌헬름 리프크네히트와 아우구스트 베벨이 통일된 사회주의 정당을 위해 국가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페르디난트 라살과 타협하는 경향에 반대했다. 이 작품은 또 다른 유명한 마르크스의 인용구인 "각자의 능력에 따라, 각자의 필요에 따라"로도 유명하다.

1881년 3월 8일 베라 자수리치에게 보낸 편지에서 마르크스는 러시아가 자본주의 발전 단계를 거치지 않고 마을 ''미르''의 특징인 토지 공유를 기반으로 공산주의를 건설할 가능성을 고려했다. 러시아의 농촌 "공동체는 러시아의 사회적 재생의 중심축"이라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미르가 이전의 자본주의 단계 없이 사회주의 단계로 직접 이동하는 수단으로 작동하려면 "우선 모든 면에서 공격하는 해로운 영향을 제거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해로운 영향을 제거한다면, 마르크스는 농촌 공동체의 "자발적인 발전의 정상적인 조건"이 존재할 수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베라 자수리치에게 보낸 같은 편지에서 그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핵심에는 … 생산자와 생산 수단의 완전한 분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편지의 초고 중 하나에서 마르크스는 미래의 공산주의가 선사 시대 과거의 공산주의로의 고차원적 회귀가 될 것이라는 그의 믿음에 따라 인류학에 대한 그의 점점 더 커지는 열정을 드러냈다. 그는 "우리 시대의 역사적 추세는 유럽과 미국 국가에서 최고조에 달했던 자본주의 생산이 겪은 치명적인 위기이며, 이 위기는 파괴로 끝나고 현대 사회가 가장 고대 유형의 고등 형태인 집단 생산과 획득으로 회귀할 것"이라고 썼다. 그는 "원시 공동체의 활력은 셈족, 그리스, 로마 등의 사회보다 비교할 수 없이 컸고, 더욱더 현대 자본주의 사회보다 컸다"고 덧붙였다. 마르크스는 죽기 전에 엥겔스에게 이러한 아이디어를 작성해 달라고 요청했고, 1884년 ''가족, 사유재산 및 국가의 기원''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마르크스가 노동과 자본 재생산에서의 기능에 대해 생각한 것은 사회 관계가 사회의 과거, 현재, 미래를 결정하는 데 우선한다는 그의 견해와 관련이 있다. 비판가들은 이것을 경제적 유물론이라고 부른다. 노동은 존재의 전제 조건이며, 자본 축적의 전제 조건이기도 한데, 이 둘 모두 사회 시스템을 형성한다. 마르크스에게 사회 변화는 대립되는 이해관계, 즉 그들의 생산 양식의 역사적 상황에 처한 당사자들 사이의 갈등에 의해 추동되었다. 이것은 갈등 이론으로 알려진 연구들의 영감이 되었다.

그의 진화론적 역사 모델에서 그는 인류 역사가 자유롭고, 생산적이며, 창의적인 활동으로 시작되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제적이고 비인간적으로 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자본주의 하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마르크스는 이것이 의도적인 과정이 아니라 현재의 생산 양식의 내재적 논리 때문이라고 지적했는데, 이 논리는 자본의 사회적 관계를 재생산하기 위해 더 많은 인적 노동(추상 노동)을 요구한다.

사회의 조직은 생산 수단에 의존한다. 생산 수단은 토지, 천연 자원 및 기술과 같이 물질적 재화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의미하지만 인적 노동은 포함하지 않는다. 생산 관계는 사람들이 생산 수단을 획득하고 사용함에 따라 맺는 사회적 관계이다. 이것들이 함께 생산 양식을 구성하며, 마르크스는 생산 양식의 관점에서 역사적 시대를 구분했다. 마르크스는 기반(또는 하부 구조)이 경제 시스템이고 상부 구조가 문화적, 정치적 시스템인 기반과 상부 구조를 구분했다. 마르크스는 경제적 기반과 사회적 상부 구조 사이의 불일치를 사회적 혼란과 갈등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했다.

마르크스가 자본주의 비판과 그것을 대체해야 할 새로운 공산 사회에 대한 논의를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명시적인 비판은 신중하다. 그는 그것을 과거 사회(노예 제도 및 봉건 제도)에 비해 개선된 사회로 보았기 때문이다. 마르크스는 도덕정의 문제에 대해 명확하게 논의한 적이 없지만, 학자들은 그의 저술에 그러한 개념에 대한 암묵적인 논의가 포함되어 있다는 데 동의한다.

마르크스의 자본주의에 대한 견해는 양면적이었다. 한편으로, 19세기 자본주의의 비인간적인 측면에 대한 가장 심오한 비판에서 그는 자본주의의 특징으로 소외, 착취, 그리고 대량 실업으로 이어지는 반복적이고 순환적인 불황을 지적했다. 다른 한편으로, 그는 자본주의를 "혁신적이고, 산업화하고, 보편화하는 발전, 성장 및 진보의 특성"(마르크스가 산업화, 도시화, 기술 발전, 증가된 생산성과 성장, 합리성과학 혁명을 의미하는 것)을 지닌 것으로 묘사했는데, 이것들은 이전 사회 형태와 대조적으로 진보에 책임이 있다.

마르크스는 자본가 계급을 역사상 가장 혁명적인 계급 중 하나로 간주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역사상 다른 어떤 계급보다 생산 수단을 끊임없이 개선했고 봉건 제도의 타도에 책임이 있었기 때문이다. 자본가는 이윤을 새로운 기술과 자본 설비에 재투자하려는 유인이 있기 때문에 상당한 성장을 자극할 수 있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자본가들은 노동 시장과 자본가가 생산할 수 있는 어떤 상품 시장 간의 차이를 이용한다. 마르크스는 실제로 성공적인 모든 산업에서 투입 단위 비용이 산출 단위 가격보다 낮다는 것을 관찰했다. 마르크스는 이 차이를 "잉여 가치"라고 부르고 그것이 노동자를 생계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과 그들이 생산할 수 있는 것 사이의 차이인 잉여 노동에 기반한다고 주장했다. 마르크스는 자본가들을 노동자의 피를 빨아먹는 흡혈귀로 묘사하지만, 그는 이윤을 얻는 것이 결코 불의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마르크스는 자본가 자신조차도 시스템에 역행할 수 없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문제는 재산이나 장비가 아니라 노동자와 소유자 사이의 사회적 관계(노동력의 매매) – 즉, 일반적인 사회 시스템 또는 생산 양식인 자본이다.

동시에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불안정하고 주기적인 위기에 취약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본가들이 새로운 기술에 점점 더 많이 투자하고 노동에는 점점 더 적게 투자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마르크스는 이윤이 노동으로부터 착취된 잉여 가치에서 나온다고 믿었기 때문에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이윤율이 하락할 것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마르크스는 점점 더 심각한 위기가 성장과 붕괴의 이러한 순환에 종지부를 찍을 것이라고 믿었다. 또한 그는 장기적으로 이 과정이 자본가 계급을 풍요롭게 하고 권한을 부여하고 프롤레타리아를 빈곤하게 만들 것이라고 믿었다.

1900년 올덤의 공장 외부. 마르크스는 산업 노동자, 즉 프롤레타리아가 전 세계에서 일어설 것이라고 믿었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내부의 그러한 구조적 모순이 자본주의의 종말을 필요로 하며, 사회주의 또는 후자본주의 공산 사회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었다.

도시화와 같은 자본주의가 감독하는 다양한 과정 덕분에 노동 계급인 프롤레타리아는 수적으로 증가하고 계급 의식을 발전시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고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가 생산 수단을 장악한다면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이익이 되는 사회적 관계를 장려하고, 착취 계급을 없애고, 순환적인 위기에 덜 취약한 생산 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라고 믿었다. 마르크스는 『독일 이데올로기』에서 자본주의는 국제 노동 계급의 조직적인 행동을 통해 종식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새로운 사회에서는 소외가 끝나고 인간은 노동을 팔아야 하는 속박 없이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전체 인구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민주적인 사회가 될 것이다. 그러한 유토피아적인 세계에서는 이전에는 소외를 강제하기 위한 목표였던 국가의 필요성도 거의 없을 것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공산주의 체제 수립 사이에 프롤레타리아 독재 기간이 존재할 것이라고 이론화했다. 즉, 노동 계급이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고 생산 수단을 강제적으로 사회화하는 것이다. 그가 그의 『고타 강령 비판』에서 썼듯이, "자본주의 사회와 공산주의 사회 사이에는 하나가 다른 하나로 혁명적으로 변혁되는 시대가 있습니다. 이에 상응하여 국가는 프롤레타리아의 혁명적 독재 외에는 아무것도 될 수 없는 정치적 과도기가 있습니다." 그는 강력한 민주주의 제도(예: 영국, 미국, 네덜란드)를 가진 일부 국가에서는 평화적인 전환의 가능성을 허용했지만, 노동자들이 "평화적인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다른 국가에서는 "우리 혁명의 지렛대는 힘"이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4. 영향

마르크스의 사상은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세계 정치와 지적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159] 특히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그 영향력이 두드러졌다.[160] 그의 사상은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트로츠키주의, 마오주의, 룩셈부르크주의 등 다양한 정치 이념의 기반이 되었으며, 소련을 비롯한 여러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블라디미르 레닌,[171] 마오쩌둥,[172] 피델 카스트로,[173] 살바도르 아옌데,[174] 요시프 브로즈 티토,[175] 넬슨 만델라[178] 등 세계적인 지도자들이 마르크스를 자신들의 사상적 기반으로 언급했다.[176][177][179][180]

마르크스의 추종자들은 그의 저술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현대 사회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논쟁을 벌여왔다. 마르크스 사상의 유산은 여러 갈래로 나뉘어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각 학파는 자신이 마르크스의 가장 정확한 해석자라고 주장했다. 개방적 마르크스주의를 포함하여 정치 영역에서 다양한 경향이 존재한다. 학문적 마르크스주의에서도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역사적 유물론, 현상학적 마르크스주의, 해석적 마르크스주의, 헤겔적 마르크스주의 등 다양한 흐름이 발전했다.

학문적으로 마르크스의 업적은 현대 사회학의 탄생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프리드리히 니체,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함께 '의심의 학파'의 19세기 세 거장 중 한 명으로,[161] 에밀 뒤르크하임, 막스 베버와 더불어 현대 사회과학의 세 주요 설계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마르크스는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 가능한 이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다른 철학자들과 구별된다. 사회학 이론에서 마르크스주의 사회학은 주요 고전적 관점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 아이작 베를린은 마르크스를 현대 사회학의 진정한 창시자로 간주했다.

마르크스의 사상은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철학, 문학, 예술, 인문학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163][164][165] 20세기와 21세기의 사회 이론가들은 마르크스에 대한 반응으로 두 가지 주요 전략을 추구했다. 하나는 해석적 마르크스주의로 축소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마르크스주의 이론화로, E. P. 톰슨과 에릭 홉스봄 같은 역사가들이 채택했다. 안토니오 그람시와 같은 사상가와 활동가들은 마르크스 사회 이론의 관점에서 변혁적 정치적 실천의 기회와 어려움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166][167][168][169] 마르크스의 사상은 이후의 예술가들과 미술사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문학, 시각 예술, 음악, 영화, 연극에 걸쳐 아방가르드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170]

정치적으로 마르크스의 유산은 더욱 복잡하다. 20세기 동안 수십 개국의 혁명가들이 자신을 '마르크스주의자'라고 칭했다.[171] 마르크스주의와 관련된 국가들에서 일어난 일부 사건들은 정치적 반대자들로 하여금 수백만 명의 사망에 대해 마르크스를 비난하게 만들었지만,[182] 다른 이들은 마르크스의 유산과 영향, 그리고 그의 사상을 정치적 목적으로 형성한 사람들의 유산과 영향을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83]

마르크스, 러시아와 카를-마르크스-슈타트(현재는 켐니츠)는 마르크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85][186] 2018년 5월, 그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중국 정부가 기증한 우웨이산의 4.5m 마르크스 동상이 그의 고향인 독일 트리어에 공개되었다. 당시 유럽 집행위원회 위원장인 장-클로드 융커는 마르크스의 기억을 옹호하며, 오늘날 마르크스는 "그가 책임지지 않고 그가 야기하지 않은 것들을 대표한다. 그가 적어 놓은 많은 것들이 반대로 바뀌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187][188]

2017년, 마르크스와 그의 아내 제니 마르크스 및 엥겔스를 비롯한 다른 혁명가들과 지식인들을 다룬 영화 ''젊은 카를 마르크스''는 역사적 정확성과 지적 삶을 다루는 활기로 호평을 받았다.[189]

아이자야 벌린은 마르크스가 발전시킨 어떤 이론에 대해서든 그 직접적인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은 비교적 간단한 일이라고 하면서도, 마르크스는 자신의 사상이 다른 사상가들에게 빚지고 있다는 것을 결코 부정하려고 하지 않았다고 평가한다. 그는 마르크스가 방대한 자료를 걸러내어 그중에서 독창적이고 진실되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끌어냈다. 그리고 그것들을 참조하면서 새로운 사회 분석의 방법을 구축한 것이라고 덧붙였다.[816][817]

2005년 영국 BBC의 라디오 프로그램 시청자 투표에서 마르크스는 위대한 철학자 1위로 선정되었다.[819]

5. 저서

마르크스의 주요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제목공동 저자 및 기타 사항
1841년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의 자연철학의 차이점에 관하여박사 학위 논문
1842년역사법학파의 철학적 선언문
1843년헤겔 법철학 비판
1843년유대인 문제에 대하여
1844년제임스 밀에 대한 노트
1844년1844년 경제학 철학 초고
1845년성가족프리드리히 엥겔스와 공저
1845년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1888년 엥겔스에 의해 사후 출판
1845년독일 이데올로기엥겔스와 공저, 1932년에야 초판 출간
1847년철학의 빈곤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의 《빈곤의 철학》을 비판
1847년임노동과 자본
1848년공산당 선언엥겔스와 공저
1850년프랑스 계급투쟁사 1848년-1850년
1852년루이 나폴레옹의 브뤼메르 18일
1857년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1859년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년미국 남북 전쟁에 관한 저작
1862년잉여가치론카를 카우츠키에 의해 사후 출판, 3권
1864년국제 노동자 협회의 에이브러햄 링컨에게 보내는 연설문
1865년임금, 가격, 이윤
1867년자본론 제1권
1871년프랑스 내전
1875년고타 강령 비판
1883년아돌프 바그너에 대한 노트
1885년자본론 제2권엥겔스에 의해 사후 출판
1894년자본론 제3권엥겔스에 의해 사후 출판



마르크스는 프랑스벨기에에서 정치적 망명 생활을 하며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특히, 벨기에에서는 "현대 정치에 관한 어떠한 저술도 벨기에에서는 출판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해야 했지만,[411] 정치 참여는 계속했다.[418] 그는 프로이센 국적을 포기하고 사망할 때까지 무국적자로 남았다.[419]

참조

[1] 웹사이트 Letter from Karl Marx accepting membership of the Society 1862 http://www.calmview2[...] 2022-08-19
[2] 서적 Karl Marx on Education, Women, and Children McGraw Hill 1975
[3] 서적 Critique of the Gotha Program
[4] 서적 Free Trade Reimagined: The World Division of Labor and the Method of Econom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5] 학술지 Capital Controversies: Ancient and Modern 1974-05
[6] 서적 Ten Great Economists: From Marx to Keynes Taylor & Francis 1952
[7] 웹사이트 Marxism and Method http://www-personal.[...] 2017-12-10
[8] 웹사이트 Stanford Encyclopa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12-10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Constantine's Sword: The Church and the Jews – A Histor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8-04-02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웹사이트 The Baptism of Karl Marx, 1824 https://landmarkeven[...] 2024-08-28
[20] 서적 Karl Marx: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뉴스 Karl Marx: the drinking years https://www.telegrap[...] 2017-10-14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37]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International Publishers 1975
[38]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1
[39]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International Publishers 1975
[40]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001
[41]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1, 2006
[42]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1, 2006
[43]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6
[44]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1, 2006
[45]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1, 2006
[46]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1, 2006
[47]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1, 2006
[48]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1, 2006
[49]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1, 2006
[50]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International Publishers 1975
[51]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International Publishers 1975
[52]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6, 2001, 2006
[53]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001, 2006
[54] 서적 Paris Between Empires St. Martins Press 2001
[55]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International Publishers 1975
[56]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International Publishers 1975
[57]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73
[58] 서적 Preface to Volume 28 of the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International Publishers 1986
[59]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35, 36, 37 International Publishers 1996, 1997, 1987
[60]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3 International Publishers 1975
[61]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3 International Publishers 1975
[62]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5 International Publishers 1976
[63]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5 International Publishers 1976
[64] 서적 Frederick Engels: A Biography Verlag Zeit im Bild 1972
[65] 서적 Frederick Engels: A Biography Verlag Zeit im Bild 1972
[66] 서적 Frederick Engels: A Biography Verlag Zeit im Bild 1972
[67] 서적 Frederick Engels: A Biography Verlag Zeit im Bild 1972
[68]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5 International Publishers 1976
[69]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6 International Publishers 1976
[70]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6 International Publishers 1976
[71]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1 International Publishers
[72]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1 International Publishers
[73]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6 International Publishers
[74]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6 International Publishers
[75] 서적 The Sociological Ambition: Elementary Forms of Social and Moral Life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5-06-27
[76] 문서 Marx and Engels 1848
[77] 서적 Karl Marx, an intimate biography McGraw-Hill 1978
[78] 서적 Karl Marx: His life and Thought Harper and Row
[79] 학술지 Heute Deutschland! Marx as Provincial Politician
[80]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7 International Publishers
[81] 웹사이트 Neue Rheinsiche Zeitung No. 145 November 1848 https://www.marxists[...] 2022-04-05
[82] 서적 (출처 없음)
[83] 서적 99 Tactics of Successful Tax Resistance Campaigns Picket Line Press
[84]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1 International Publishers
[85]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1 International Publishers
[86] 서적 Towards an Unknown Marx: A Commentary on the Manuscripts of 1861–63 Routledge
[87] 웹사이트 Karl Heinrich Marx – Biography https://web.archive.[...] The European Graduate School 2011-03-09
[88] 서적 Karl Marx: A Nineteenth-Century Life
[89] 서적 The Paper: The Life and Death of the New York Herald Tribune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90] 서적 Selected Correspondence Progress Publishers
[91]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1 International Publishers
[92]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1 International Publishers
[93] 웹사이트 Marx & Engels Collected Works, vol.41 https://archive.org/[...] 2017-03-15
[94] 서적 The Paper: The Life and Death of the New York Herald Tribune Alfred A. Knopf Publishing
[95] 서적 (출처 없음)
[96]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9 International Publishers
[97]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1 International Publishers
[98] 서적 Karl Marx: A Nineteenth-Century Life
[99] 웹사이트 All Images of Marx Are Good https://marx200.org/[...] 2024-12-02
[100] 서적 Karl Marx: A Nineteenth-Century Life
[101]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22 International Publishers
[102]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28 International Publishers
[103]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29 International Publishers
[104]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29 International Publishers
[105] 웹사이트 Economic Manuscripts: Appendix I: Production, Consumption, Distribution, Exchange https://www.marxists[...] 2022-03-28
[106] 서적 Marx used social criticism as his standard form of social analysis. Marx defined criticism as the "radical negation of social reality." 2012
[107] 서적 Capital II: The Process of Circulation of Capital International Publishers 1997
[108] 서적 Capital III: The Process of Capitalist Production as a Whole International Publishers 1998
[109] 서적 Theories of Surplus Value International Publishers 1988
[110] 서적 Theories of Surplus Value International Publishers 1989
[111] 서적 Theories of Surplus Value International Publishers 1989
[112] 웹사이트 Economic Works of Karl Marx 1861–1864 https://www.marxists[...] 2018-07-14
[113]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30
[114] 서적 Collected Works Volume 46 International Publishers 1992
[115] 서적 First draft of the letter to Vera Zasulich 1881
[116] 서적 Marx: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17] 서적 Reminiscences of Marx http://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20-12-30
[118] 뉴스 The Means of Reproduction https://www.nytimes.[...] 2011-09-23
[119]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x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2-30
[120] 웹사이트 Helene Demuth Obituary https://www.marxists[...] 2024-07-08
[121] 간행물 Who was really at Marx's funeral? https://highgateceme[...] Friends of Highgate Cemetery Newsletter 2018-04
[122] 뉴스 Dr Karl Marx The People 1883-03-25
[123] 뉴스 Dr Karl Marx The Graphic 1883-03-31
[124] 웹사이트 Marx, Karl https://probatesearc[...] UK Government 1883
[125] 웹사이트 £250 in 1883 → 2024 {{!}} UK Inflation Calculator https://www.in2013do[...] 2024-04-11
[126] 뉴스 Marx monument unveiled in Highgate cemetery – archive, 15 March 1956 https://www.theguard[...] 2016-03-15
[127] 서적 Hobsbawm 2011
[128] 서적 Marx's Associated Mode of Production: A Critique of Marxism Springer 2016
[129] 서적 Why Marx Was Right Yale University Press 2011
[130] 웹사이트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Dead: Marx's Vampires http://ricardo.ecn.w[...]
[131] 웹사이트 Marx, Engels, and Some (Non-Foundational) Arguments against Utopian Socialism https://ora.ox.ac.uk[...] 2024-08-22
[132] 서적 Divergent Paths: The Hegelian foundations of Marx's method Lexington Books 2006
[133] 서적 Karl Marx: A Nineteenth-Century Life
[134] 논문 Marx's scientific and political criticism: The internal relation 2015
[135] 서적 French Political Thought from Montesquieu to Tocquevill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36] 서적 Capital: A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Modem Library 1906
[137] 웹사이트 The labour-process and the process of producing surplus-value http://www.marxists.[...] 1867
[138] 서적 Critique of Hegel's dialectic and philosophy in general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1844
[139] 논문 Marxian alienation and economic organisation: An alternate view 1977
[140] 서적 Desir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5
[141] 서적 undefined 1997
[142] 서적 undefined 1997
[143] 서적 undefined 1997
[144]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https://books.google[...] Echo Library 2015-06-27
[145] 서적 Main currents of Marxism: the founders, the golden age, the breakdown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mpany 2011-03-08
[14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Right https://www.marxists[...] 2019-05-12
[147] 문서 The Communist Manifesto, Part II: Proletariats and Communist and Capital, Volume I, Part III
[148] 연설 Inaugural Address of the International Working Men's Association
[149]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150] 웹사이트 Grundrisse 06 https://www.marxists[...] 2021-11-21
[151] 웹사이트 La Liberté Speech https://www.marxists[...] 2018-07-16
[152] 서적 Marx et la puissance russe K. Marx, La Russie et l'Europe, Paris 1849-02-16
[153] 서적 Selected Correspondence Progress Publishers, Moscow 1881-03-21
[154] 문서 The Russian Menace to Europe George Allen and Unwin, London 1867-01-22
[155] 웹사이트 Karl Marx and the Irish https://www.nytimes.[...] 2018-05-09
[156] 백과사전 Colonialism https://plato.stanfo[...] 2018-08-10
[157] 뉴스 Marx in Algiers http://weekly.ahram.[...] 2018-08-10
[158] 뉴스 Marx on India under the British https://www.thehindu[...] 2006-06-13
[159] 뉴스 Why Marx is man of the moment http://observer.guar[...] 2005-07-17
[160] 학술지 The Mainstreaming of Marx: Measuring the Effect of the Russian Revolution on Karl Marx's Influence https://www.journals[...] 2022-11-12
[161] 서적 Freud and Philosophy: An Essay on Interpretation Yale University Press
[162] 서적 From Hegel to Nietzsche Columbia University Press
[163] 학술지 Marxist Approaches in Anthropology and Marx and Anthropology
[164] 학술지 Marxist Approaches to Media Studies: The British Experience
[165] 서적 Learning the Media: Introduction to Media Teaching Palgrave Macmillan
[166] 서적 Main Currents of Marxism: the Founders, the Golden Age, the Breakdown W.W. Norton & Company
[167] 서적 Main Currents in Sociological Thought Anchor Books
[168] 서적 Considerations on Western Marxism NLB
[169] 서적 How to Change the World: Marx and Marxism, 1840–2011 Little, Brown
[170] 서적 Marxism and the History of Art: From William Morris to the New Left Pluto Press
[171] 웹사이트 The Tasks of the Proletariat in the Present Revolution https://www.marxists[...] 2015-01-08
[172] 웹사이트 Glossary of People – Ma https://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2015-01-08
[173] 웹사이트 L'Unita Interview with Fidel Castro: The Nature of Cuban Socialism https://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2015-01-08
[174] 웹사이트 First speech to the Chilean parliament after his election https://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2015-01-08
[175] 웹사이트 Historical Development in the World Will Move Towards the Strengthening of Socialism https://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2015-01-08
[176] 웹사이트 African Socialism Revisited https://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2015-01-08
[177] 뉴스 Nehru's economic philosophy http://www.thehindu.[...] 2017-05-27
[178] 웹사이트 Nelson Mandela's Living Legacy | Preparing for Defiance 1949–1952 https://www.thesouth[...] The South African 2013-11-06
[179] 뉴스 Juncker opens exhibition to Karl Marx http://www.euronews.[...] 2018-05-04
[180] 간행물 Resurrecting Thomas Sankara https://jacobinmag.c[...] 2015-05-20
[181] 뉴스 Why Marxism is on the rise again https://www.theguard[...] 2012-07-04
[182] 뉴스 The Left is trying to rehabilitate Karl Marx. Let's remind them of the millions who died in his name http://blogs.telegra[...] 2013-11-01
[183] 웹사이트 Between Marx, Marxism, and Marxisms – Ways of Reading Marx's Theory https://viewpointmag[...] 2013-10-21
[184] 서적 Authoritarian Socialism in America: Edward Bellamy and the Nationalist Move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01-01
[185] 웹사이트 Где находится Екатериненштадт? Города России http://wm-izhevsk.co[...] 2010-04-29
[186] 문서 Chemnitzer Tourismus-Broschüre http://www.chemnitz-[...] City-Management und Tourismus Chemnitz GmbH 2010-08-01
[187] 뉴스 'Today he stands for things which is he not responsible for': EU president Juncker defends Karl Marx's legacy https://www.independ[...] 2018-05-04
[188] 뉴스 Karl Marx statue from China adds to German angst https://www.bbc.com/[...] 2018-05-05
[189] 뉴스 Review: In 'The Young Karl Marx,' a Scruffy Specter Haunts Europe https://www.nytimes.[...] 2018-02-22
[190]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 online http://www.marxistsf[...]
[191] 웹사이트 Ref No RSA/SC/IM/701/S1000 < Search results http://www.calmview2[...]
[192] 서적 林(2021)
[193] 서적 ウィーン(2002)
[194] 서적 カー(1956)
[195] 서적 廣松(2008)
[196] 서적 小牧(1966)
[197] 서적 廣松(2008)
[198] 서적 石浜(1931)
[199] 서적 廣松(2008)
[200] 서적 城塚(1970)
[201] 서적 ウィーン(2002)
[202] 서적 ウィーン(2002)
[203] 서적 石浜(1931)
[204] 서적 城塚(1970)
[205] 간행물 Heinrich Marx, Jude, Freimaurer und Vater von Karl Marx Humanität, Zeitschrift für Gesellschaft, Kultur und Geistesleben 1992-01-01
[206] 서적 廣松(2008)
[207] 서적 廣松(2008)
[208] 서적 廣松(2008)
[209]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10] 서적 カー(1956)
[211]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212]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13] 서적 Der Erbteilungsvertraag Henriette Marx
[214] 서적 Karl und Heinrich Marx und ihre Geschwister
[215] 서적
[216]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17] 서적 石浜(1931)
[218]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219] 서적 廣松(2008)
[220] 서적 ウィーン(2002)
[221]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222] 서적 ウィーン(2002)
[223] 서적 廣松(2008)
[224] 서적 小牧(1966)
[225] 서적 ウィーン(2002)
[226] 서적 ウィーン(2002)
[227] 서적 廣松(2008)
[228] 서적 廣松(2008)
[229]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30]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31] 서적 廣松(2008)
[232] 서적 カー(1956)
[233]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34]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35] 서적 カー(1956)
[236] 서적 カー(1956)
[237] 서적 城塚(1970)
[238] 서적 石浜(1931)
[239] 서적 廣松(2008)
[240] 서적 ウィーン(2002)
[241] 서적 廣松(2008)
[242]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43]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244] 서적 ウィーン(2002)
[245] 서적 廣松(2008)
[246] 서적 石浜(1931)
[247] 서적 廣松(2008)
[248] 서적 カー(1956)
[249] 서적 ウィーン(2002)
[250] 서적 ウィーン(2002)
[251] 서적 カー(1956)
[252]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253] 서적 石浜(1931)
[254] 서적 城塚(1970)
[255]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256] 서적 石浜(1931)
[257]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258] 서적 石浜(1931)
[259] 서적 廣松(2008)
[260] 서적 廣松(2008)
[261] 서적 石浜(1931)
[262] 서적 小牧(1966)
[263]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64] 서적 小牧(1966)
[265] 서적 石浜(1931)
[266] 서적 廣松(2008)
[267] 서적 廣松(2008)
[268]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69] 서적 ウィーン(2002)
[270] 서적 カー(1956)
[271] 서적 城塚(1970)
[272]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273] 서적 石浜(1931)
[274]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275]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76] 서적 廣松(2008)
[277]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78] 서적 廣松(2008)
[279]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280]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281] 서적 ウィーン(2002)
[282] 서적 ウィーン(2002)
[283] 서적 廣松(2008)
[284] 서적 城塚(1970)
[285] 서적 ウィーン(2002)
[286] 서적 廣松(2008)
[287] 서적 ウィーン(2002)
[288] 서적 小牧(1966)
[289] 서적 城塚(1970)
[290] 서적 石浜(1931)
[291] 서적 城塚(1970)
[292] 서적 廣松(2008)
[293] 서적 カー(1956)
[294] 서적 廣松(2008)
[295] 서적 廣松(2008)
[296] 서적 カー(1956)
[297] 서적 ウィーン(2002)
[298] 서적 城塚(1970)
[299] 서적 廣松(2008)
[300]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01] 서적 石浜(1931)
[302] 서적 石浜(1931)
[303] 서적 城塚(1970)
[304] 서적 ウィーン(2002)
[305] 서적 廣松(2008)
[306]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07] 서적 石浜(1931)
[308] 서적 廣松(2008)
[309] 서적 カー(1956)
[310] 서적 太田(1930)
[311]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12]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13] 서적 石浜(1931)
[314] 서적 カー(1956)
[315]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16]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17] 서적 廣松(2008)
[318] 서적 城塚(1970)
[319] 서적 廣松(2008)
[320]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21] 서적 ウィーン(2002)
[322] 서적 石浜(1931)
[323] 서적 廣松(2008)
[324] 서적 石浜(1931)
[325] 서적 ウィーン(2002)
[326] 서적 城塚(1970)
[327] 서적 廣松(2008)
[328] 서적 廣松(2008)
[329]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30] 서적 ウィーン(2002)
[331] 서적 石浜(1931)
[332] 서적 カー(1956)
[333] 서적 太田(1930)
[334] 서적 ウィーン(2002)
[335] 서적 石浜(1931)
[336] 서적 廣松(2008)
[337] 서적 石浜(1931)
[338] 서적 カー(1956)
[339] 서적 石浜(1931)
[340] 서적 廣松(2008)
[341] 서적 ウィーン(2002)
[342] 서적 ウィーン(2002)
[343]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44] 서적 城塚(1970)
[345] 서적 小牧(1966)
[346] 서적 城塚(1970)
[347] 서적 廣松(2008)
[348] 서적 カー(1956)
[349] 서적 バーリン(1974)
[350] 서적 小牧(1966)
[351] 서적 城塚(1970)
[352] 서적 小牧(1966)
[353] 서적 石浜(1931)
[354] 서적 城塚(1970)
[355] 서적 廣松(2008)
[356] 서적 城塚(1970)
[357] 서적 廣松(2008)
[358] 서적 城塚(1970)
[359] 서적 廣松(2008)
[360] 서적 石浜(1931)
[361] 서적 カー(1956)
[362] 서적 廣松(2008)
[363] 서적 石浜(1931)
[364]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65] 서적 石浜(1931)
[366] 서적 小牧(1966)
[367]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68] 서적 ウィーン(2002)
[369] 서적 カー(1956)
[370] 서적 城塚(1970)
[371] 서적 石浜(1931)
[372] 서적 小牧(1966)
[373] 서적 バーリン(1974)
[374] 서적 小牧(1966)
[375] 서적 小牧(1966)
[376] 서적 小牧(1966)
[377] 서적 城塚(1970)
[378] 서적 廣松(2008)
[379] 서적 石浜(1931)
[380] 서적 廣松(2008)
[381] 서적 ウィーン(2002)
[382]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83] 서적 ウィーン(2002)
[384] 서적 石浜(1931)
[385]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386] 서적
[387] 서적
[388] 서적
[389] 서적
[390] 서적
[391] 서적
[392] 서적
[393] 서적
[394] 서적
[395] 서적
[396] 서적
[397] 서적
[398] 서적
[399] 서적
[400] 서적
[401] 서적
[402] 서적
[403] 서적
[404] 서적
[405] 서적
[406] 서적
[407] 서적
[408] 서적
[409] 서적
[410] 서적
[411] 서적
[412] 서적
[413] 서적
[414] 서적
[415] 서적
[416] 서적
[417] 서적
[418] 서적
[419] 서적
[420] 서적
[421] 서적 小牧(1966)
[422] 서적 石浜(1931)
[423] 서적 小牧(1966)
[424] 서적 ウィーン(2002)
[425] 서적 石浜(1931)
[426] 서적 石浜(1931)
[427] 서적 石浜(1931)
[428] 서적 小牧(1966)
[429] 서적 小牧(1966)
[430] 서적 石浜(1931)
[431] 서적 小牧(1966)
[432] 서적 小牧(1966)
[433] 서적 小牧(1966)
[434] 서적 小牧(1966)
[435] 서적 小牧(1966)
[436] 서적 小牧(1966)
[437] 서적 小牧(1966)
[438] 서적 石浜(1931)
[439] 서적 小牧(1966)
[440] 서적 ウィーン(2002)
[441] 서적 ウィーン(2002)
[442]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443] 서적 ウィーン(2002)
[444] 서적 石浜(1931)
[445] 서적 小牧(1966)
[446] 서적 ウィーン(2002)
[447] 서적 石浜(1931)
[448] 서적 小牧(1966)
[449] 서적 ウィーン(2002)
[450] 서적 小牧(1966)
[451] 서적 石浜(1931)
[452] 서적 小牧(1966)
[453] 서적 小牧(1966)
[454] 서적 カー(1956)
[455] 서적 石浜(1931)
[456] 서적 小牧(1966)
[457] 서적 石浜(1931)
[458] 서적 ウィーン(2002)
[459] 서적 石浜(1931)
[460] 서적 小牧(1966)
[461] 웹사이트 1848年革命とは https://kotobank.jp/[...] 2021-11-03
[462] 서적 石浜(1931)
[463] 서적 石浜(1931)
[464] 서적 エンゲルベルク(1996)
[465] 서적 石浜(1931)
[466] 서적 小牧(1966)
[467] 서적 石浜(1931)
[468] 서적 カー(1956)
[469]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470] 서적 ウィーン(2002)
[471] 서적 ウィーン(2002)
[472] 서적 小牧(1966)
[473] 서적 ウィーン(2002)
[474] 서적 小牧(1966)
[475]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476] 서적 ウィーン(2002)
[477] 서적 ウィーン(2002)
[478] 서적 ウィーン(2002)
[479] 서적 ウィーン(2002)
[480] 서적 石浜(1931)
[481] 서적 カー(1956)
[482] 서적 カー(1956)
[483] 서적 石浜(1931)
[484] 서적 ウィーン(2002)
[485] 서적 ウィーン(2002)
[486] 서적 石浜(1931)
[487]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488] 서적 ウィーン(2002)
[489] 서적 ウィーン(2002)
[490] 서적 小牧(1966)
[491] 서적 カー(1956)
[492] 서적 石浜(1931)
[493] 서적 小牧(1966)
[494] 서적 バーリン(1974)
[495]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496] 서적 エンゲルベルク(1996)
[497] 서적 エンゲルベルク(1996)
[498] 서적 エンゲルベルク(1996)
[499]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500]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501] 서적 ウィーン(2002)
[502] 서적 ウィーン(2002)
[503] 서적 エンゲルベルク(1996)
[504] 서적 エンゲルベルク(1996)
[505] 서적 エンゲルベルク(1996)
[506] 서적 石浜(1931)
[507] 서적 ウィーン(2002)
[508]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509] 서적 石浜(1931)
[510]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511] 서적 ウィーン(2002)
[512] 서적 石浜(1931)
[513] 서적 エンゲルベルク(1996)
[514] 서적 ウィーン(2002)
[515] 서적 小牧(1966)
[516]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517]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518] 서적 小牧(1966)
[519] 서적 ウィーン(2002)
[520] 서적 ウィーン(2002)
[521]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522] 서적 鹿島(2004)
[523] 서적 鹿島(2004)
[524] 서적 ウィーン(2002)
[525] 서적 バーリン(1974)
[526] 서적 ウィーン(2002)
[527] 서적 バーリン(1974)
[528] 서적 カー(1956)
[529] 서적 カー(1956)
[530] 서적 石浜(1931)
[531] 서적 ウィーン(2002)
[532] 서적 バーリン(1974)
[533]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534] 서적 カー(1956)
[535] 서적 小牧(1966)
[536] 서적 ウィーン(2002)
[537]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538] 서적 バーリン(1974)
[539] 서적 ウィーン(2002)
[540] 서적 バーリン(1974)
[541] 서적 バーリン(1974)
[542] 서적 カー(1956)
[543] 서적 バーリン(1974)
[544] 서적 バーリン(1974)
[545] 서적 バーリン(1974)
[546] 서적 ウィーン(2002)
[547] 서적 メーリング(1974) 2巻
[548] 서적 ウィーン(2002)
[549] 서적 石浜(1931)
[550] 서적 小牧(1966)
[551] 서적 カー(1956)
[552] 서적 ウィーン(2002)
[553] 서적 メーリング(1974) 2巻
[554] 서적 石浜(1931)
[555] 서적 小牧(1966)
[556] 서적 バーリン(1974)
[557] 서적 バーリン(1974)
[558] 서적 石浜(1931)
[559] 서적 バーリン(1974)
[560] 서적 カー(1956)
[561] 간행물 メーリング(1974) 2巻
[562] 간행물 石浜(1931)
[563] 간행물 カー(1956)
[564] 간행물 メーリング(1974) 2巻
[565] 간행물 石浜(1931)
[566] 간행물 メーリング(1974) 2巻
[567] 간행물 エンゲルベルク(1996)
[568] 간행물 石浜(1931)
[569] 간행물 カー(1956)
[570] 간행물 石浜(1931)
[571] 간행물 カー(1956)
[572] 간행물 カー(1956)
[573] 간행물 カー(1956)
[574] 간행물 カー(1956)
[575] 간행물 小牧(1966)
[576] 간행물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577] 간행물 カー(1956)
[578] 간행물 石浜(1931)
[579] 간행물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580] 간행물 鹿島(2004)
[581] 간행물 カー(1956)
[582] 간행물 ウィーン(2002)
[583] 간행물 メーリング(1974) 2巻
[584] 간행물 カー(1956)
[585] 간행물 ウィーン(2002)
[586] 간행물 バーリン(1974)
[587] 간행물 バーリン(1974)
[588] 간행물 カー(1956)
[589] 간행물 メーリング(1974)2巻
[590] 간행물 石浜(1931)
[591] 간행물 メーリング(1974)2巻
[592] 간행물 メーリング(1974)2巻
[593] 간행물 メーリング(1974)2巻
[594] 간행물 江上(1972)
[595] 간행물 カー(1956)
[596] 서적 江上(1972)
[597] 서적 ウィーン(2002)
[598]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599] 서적 ウィーン(2002)
[600] 서적 バーリン(1974)
[601] 서적 ウィーン(2002)
[602] 서적 石浜(1931)
[603] 서적 ウィーン(2002)
[604]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605] 서적 小牧(1966)
[606] 서적 小牧(1966)
[607] 서적 バーリン(1974)
[608] 서적 小牧(1966)
[609] 서적 小牧(1966)
[610] 서적 小牧(1966)
[611] 서적 小牧(1966)
[612] 서적 ウィーン(2002)
[613] 서적 江上(1972)
[614] 서적 ウィーン(2002)
[615] 서적 ウィーン(2002)
[616] 서적 ウィーン(2002)
[617] 서적 ウィーン(2002)
[618] 서적 エンゲルベルク(1996)
[619] 서적 江上(1972)
[620] 서적 江上(1972)
[621] 서적 カー(1956)
[622] 서적 ベーベル自叙伝
[623] 서적 江上(1972)
[624] 서적 カー(1956)
[625] 서적 カー(1956)
[626] 서적 メーリング(1974)2巻
[627] 서적 カー(1956)
[628] 서적 ウィーン(2002)
[629] 서적 ウィーン(2002)
[630] 서적 ガンブレル(1989)
[631] 서적 ウィーン(2002)
[632] 서적 ウィーン(2002)
[633] 서적 ウィーン(2002)
[634] 서적 ガンブレル(1989)
[635]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636] 서적 石浜(1931)
[637] 서적 石浜(1931)
[638] 서적 鹿島(2004)
[639] 서적 鹿島(2004)
[640] 서적 石浜(1931)
[641] 서적 江上(1972)
[642] 서적 カー(1956)
[643] 서적 カー(1956)
[644] 서적 カー(1956)
[645] 서적 カー(1956)
[646] 서적 石浜(1931)
[647] 서적 カー(1956)
[648] 서적 石浜(1931)
[649] 서적 石浜(1931)
[650] 서적 小牧(1966)
[651] 서적 カー(1956)
[652] 서적 カー(1956)
[653] 서적 カー(1956)
[654] 서적 カー(1956)
[655] 서적 カー(1956)
[656] 서적 カー(1956)
[657]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658]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659] 서적 カー(1956)
[660] 서적 カー(1956)
[661] 서적 カー(1956)
[662] 서적 メーリング(1974)2巻
[663] 서적 カー(1956)
[664] 서적 メーリング(1974) 3巻
[665]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666] 서적 カー(1956)
[667] 서적 カー(1956)
[668] 서적 メーリング(1974) 3巻
[669] 서적 カー(1956)
[670] 서적 カー(1956)
[671] 서적 メーリング(1974) 3巻
[672] 서적 小牧(1966)
[673] 서적 カー(1956)
[674] 서적 メーリング(1974) 3巻
[675] 서적 ウィーン(2002)
[676] 서적 ウィーン(2002)
[677] 서적 カー(1956)
[678] 서적 カー(1956)
[679] 서적 カー(1956)
[680] 서적 ウィーン(2002)
[681] 서적 カー(1956)
[682] 서적 カー(1956)
[683] 서적 ウィーン(2002)
[684]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685] 서적 カー(1956)
[686] 서적 石浜(1931)
[687]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688] 서적 カー(1956)
[689] 서적 カー(1956)
[690] 서적 ウィーン(2002)
[691] 서적 ウィーン(2002)
[692] 서적 ウィーン(2002)
[693] 서적 カー(1956)
[694] 서적 ガンブレル(1989)
[695] 서적 カー(1956)
[696] 서적 カー(1956)
[697] 서적 カー(1956)
[698] 서적 ウィーン(2002)
[699] 서적 バーリン(1974)
[700] 서적 バーリン(1974)
[701] 서적 バーリン(1974)
[702] 서적 ウィーン(2002)
[703] 서적 バーリン(1974)
[704] 서적 外川(1973)
[705] 서적 ウィーン(2002)
[706] 서적 ウィーン(2002)
[707] 서적 バーリン(1974)
[708] 서적 カー(1956)
[709] 서적 ウィーン(2002)
[710] 서적 バーリン(1974)
[711] 서적 ウィーン(2002)
[712] 서적 時計職人とマルクス 同文館
[713] 서적 バーリン(1974)
[714] 서적 カー(1956)
[715] 서적 石浜(1931)
[716] 서적 カー(1956)
[717] 웹사이트 ドイツ社会民主党とは https://kotobank.jp/[...] 2021-11-03
[718] 웹사이트 ゴータ綱領とは https://kotobank.jp/[...] 2021-11-03
[719] 서적 バーリン(1974)
[720] 서적 カー(1956)
[721] 서적 カー(1956)
[722] 서적 カー(1956)
[723]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724] 서적 カー(1956)
[725] 서적 カー(1956)
[726] 서적 カー(1956)
[727] 서적 カー(1956)
[728] 서적 カー(1956)
[729] 서적 カー(1956)
[730] 서적 バーリン(1974)
[731] 서적 石浜(1931)
[732]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733] 서적 カー(1956)
[734] 서적 石浜(1931)
[735]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736] 서적 カー(1956)
[737] 서적 石浜(1931)
[738]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739] 서적 小牧(1966)
[740]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741] 서적 小牧(1966)
[742] 서적 経済学・哲学草稿 岩波文庫
[743] 서적 ウィーン(2002)
[744] 서적 石浜(1931)
[745] 웹사이트 Schriften von Karl Marx: "Das 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 (1848) und "Das Kapital", ernster Band (1867) http://www.unesco.de[...]
[746] 서적 ガンブレル(1989)
[747] 뉴스 マルクスの墓に爆弾 朝日新聞 1970-01-19
[748] 웹사이트 生誕200年記念「マルクス紙幣」に注文殺到 額面は0 https://www.asahi.co[...]
[749] 서적 石浜(1931)
[750]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751] 서적 カー(1956)
[752] 서적 石浜(1931)
[753] 서적 ウィーン(2002)
[754] 서적 小泉(1967)
[755] 서적 ウィーン(2002)
[756]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757]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758]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759]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760] 서적 バーリン(1974)
[761]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762] 서적 バーリン(1974)
[763] 서적 カー(1956)
[764] 서적 天才の勉強術 新潮選書
[765] 서적 ウィーン(2002)
[766] 서적 カー(1956)
[767] 서적 ウィーン(2002)
[768] 서적 メーリング(1974) 2巻
[769] 서적 ウィーン(2002)
[770] 서적 ウィーン(2002)
[771] 서적 ハイルブローナー(2001)
[772] 서적 ウィーン(2002)
[773] 서적 ウィーン(2002)
[774] 서적 ウィーン(2002)
[775] 서적 Marx's Ecology: Materialism and Nature
[776] 서적 ウィーン(2002)
[777] 서적 バーリン(1974)
[778]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779] 서적 メーリング(1974)2巻
[780] 서적 マルクスとエンゲルスの知的関係 世界書院
[781] 논문 エンゲルスの理論活動の意義と問題:没後100年を記念して https://doi.org/10.1[...] 経済学史学会
[782] 논문 いわゆる「転形問題」についての覚え書き
[783] 서적 政治心理学 ミネルヴァ書房
[784] 서적 歴史とは何か 岩波新書
[785] 서적 なぜマルクスは正しかったのか 河出書房新社
[786] 서적 ドイツ・イデオロギー 岩波文庫
[787] 서적 ルイ・ボナパルトのブリュメール18日 平凡社
[788] 서적 歴史とは何か 岩波新書
[789] 서적 ウィーン(2002)
[790] 서적 江上(1972)
[791] 서적 ウィーン(2002)
[792] 서적 カー(1956)
[793]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794] 서적 ユダヤ人問題によせて
[795] 서적 シュワルツシルト(1950)
[796] 서적 ウィーン(2002)
[797] 서적 ウィーン(2002)
[798] 서적 ウィーン(2002)
[799]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800] 서적 石浜(1931)
[801]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802] 서적 メーリング(1974)3巻
[803] 서적 ウィーン(2002)
[804] 문서 共産党宣言第二章
[805] 서적 ウィーン(2002)
[806] 서적 カー(1956)
[807] 서적 カー(1956)
[808] 서적 共産党宣言 岩波書店 1946
[809] 서적 マルクス・エンゲルス全集 16巻 大月書店
[810] 서적 マルクス・コレクション6
[811] 서적 マルクス・エンゲルス全集 9巻 大月書店
[812] 서적 マルクス・コレクション6
[813] 서적 ウィーン(2002)
[814] 서적 ウィーン(2002)
[815] 서적 カー(1956)
[816] 서적 バーリン(1974)
[817] 서적 バーリン(1974)
[818] 서적 城塚(1970)
[819] 웹사이트 Press Releases Marx wins In Our Time's Greatest Philosopher vote https://www.bbc.co.u[...] 2005-07-13
[820] 서적 小牧(1966)
[821] 서적 ウィーン(2002)
[822] 서적 ウィーン(2002)
[823] 서적 廣松(2008)
[824] 서적 ウィーン(2002)
[825]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826] 서적 石浜(1931)
[827] 서적 メーリング(1974) 1巻
[828] 서적 カー(1956)
[829] 서적 石浜(1931)
[830] 서적 ウィーン(2002)
[831] 서적 石浜(1931)
[832] 서적 ウィーン(2002)
[833] 서적 石浜(1931)
[834] 서적 ウィーン(2002)
[835] 서적 ウィーン(2002)
[836] 서적 ウィーン(2002)
[837] 서적 ウィーン(2002)
[838] 서적 カー(1956)
[839] 서적 ウィーン(2002)
[840] 웹사이트 マルクスに才能とケア労働を搾取された”父の娘”の壮絶な最後【毒家族に生まれて】 https://www.elle.com[...] ハースト婦人画報社 2021-09-03
[841] 서적 Eleanor Marx: Volume 2
[842] 서적 カー(1956)
[843] 서적 ウィーン(2002)
[844] 서적 ウィーン(2002)
[845] 서적 ウィーン(2002)
[846] 서적 ウィーン(2002)
[847] 서적 ウィーン(2002)
[848] 서적 Karl Marx Fourth Estate
[849] 웹사이트 中国がドイツに贈った「巨大マルクス像」が大論争を起こしたワケ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9-03-29
[850] 웹사이트 マルクス像寄贈は中国のプロパガンダか? 独で議論「独裁の土台」「毒のある贈り物」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9-10-16
[851] 웹인용 Duden Karl Rechtschreibung, Bedeutung, Definition https://www.duden.de[...] 2018-10-16
[852] 웹인용 Duden Marx Rechtschreibung, Bedeutung, Definition https://www.duden.de[...] 2018-10-16
[853] 서적 조선로동당규약
[854] 웹사이트 The Communist Manifesto http://www.marxists.[...]
[855] 웹사이트 Critique of the Gotha Program http://www.marxists.[...]
[856] 논문
[857] 서적 Free Trade Reimagined: The World Division of Labor and the Method of Econom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858] 저널 Capital Controversies: Ancient and Modern
[859] 서적 Ten Great Economists: From Marx to Keynes Taylor & Francis Group
[860] 웹인용 Marxism and Method http://www-personal.[...]
[861] 저널 Max Weber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12-10
[862] 논문
[863] 논문
[864] 논문
[865] 논문
[866] 서적 Constantine's Sword: The Church and the Jews – A Histor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867] 논문
[868] 논문
[869] 논문
[870] 논문
[871] 논문
[872] 논문
[873] 서적 Karl Marx: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Volume 37 Oxford University Press
[874] 논문
[875] 논문
[876] 논문
[877] 논문
[877] 논문
[878] 논문
[878] 논문
[879] 논문
[879] 논문
[880] 논문
[880] 논문
[880] 논문
[881] 논문
[881] 논문
[881] 논문
[881] 논문
[882] 논문
[882] 논문
[882] 논문
[883] 논문
[883] 논문
[884] 논문
[885] 논문
[885] 논문
[886] 논문
[886] 논문
[886] 논문
[887] 논문
[887] 논문
[887] 논문
[888] 논문
[888] 논문
[889] 논문
[890] 논문
[890] 논문
[890]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 International Publishers
[891] 논문
[891] 논문
[892]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 International Publishers
[893] 논문
[894] 논문
[894] 논문
[894] 논문
[895] 웹사이트 Classics: Karl Marx http://willamette.ed[...] 2019-02-23
[896] 논문
[896] 논문
[896] 논문
[897] 논문
[897] 논문
[898] 논문
[898] 논문
[898] 논문
[899] 논문
[899] 논문
[899] 논문
[900] 논문
[900] 논문
[900] 논문
[901] 논문
[901] 논문
[901] 논문
[902] 논문
[902] 논문
[902] 논문
[903] 논문
[903] 논문
[903] 논문
[904] 서적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Law International Publishers
[905] 서적 On the Jewish Question International Publishers
[906] 논문
[907] 논문
[907] 논문
[907] 논문
[908] 논문
[908] 논문
[909] 논문
[910] 논문
[911] 서적 Paris Between Empires St. Martin Press
[912] 서적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Class in England International Publishers
[913]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Progress Publishers
[914] 서적 Wheen 2001
[915] 서적 The Holy Family International Publishers
[916]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the Materialist Conception of History in the Writings of the Young Karl Marx http://www.lsr-proje[...] The Edwin Mellen Press
[917]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Progress Publishers
[918]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19] 서적 Karl Marx: His Life and Enviro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920]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Progress Publishers
[921] 서적 Preface to Volume 28 of the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International Publishers
[922]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35, Volume 36 and Volume 37 International Publishers
[923] 서적 Karl Marx: His Life and Environment
[924]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25]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3
[926] 서적 Economic and Philosophical Manuscripts of 1844 International Publishers
[927]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28] 서적 Theses on Feuerbach International Publishers
[929] 서적 Theses on Feuerbach International Publishers
[930] 서적 Frederick Engels: A Biography Verlag Zeit im Bild
[931] 서적 Frederick Engels: A Biography
[932] 서적 Frederick Engels: A Biography Verlag Zeit im Bild
[933] 서적 Frederick Engels: A Biography
[934]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35] 서적 Wheen 2001
[936] 서적 German Ideology International Publishers
[937]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38] 서적 Wheen 2001
[939]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6
[940] 서적 The Poverty of Philosophy International Publishers
[941] 서적 Wheen 2001
[942]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Progress Publishers
[943]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1 International Publishers
[944]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1
[945]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46]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47] 서적 Principles of Communism International Publishers
[948]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International Publishers
[949] 문서 Wheen 2001
[950] 서적 The Sociological Ambition: Elementary Forms of Social and Moral Life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951] 문서 Marx and Engels 1848
[952] 서적 Karl Marx, an intimate biography McGraw-Hill
[953] 서적 Karl Marx: His life and Thought Harper and Row
[954] 저널 Heute Deutschland! Marx as Provincial Politician
[955] 문서 Wheen 2001
[956] 서적 Demands of the Communist Party International Publishers
[957] 문서 Wheen 2001
[958] 문서 Wheen 2001
[959] 서적
[960] 서적 99 Tactics of Successful Tax Resistance Campaigns Picket Line Press
[961] 문서 Wheen 2001
[962] 문서 Wheen 2001
[963]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64] 서적
[965] 문서 Wheen 2001
[966] 서적
[967] 서적 Karl Marx: A Nineteenth-Century Life
[968] 서적 The Paper: The Life and Death of the New York Herald Tribune Alfred A. Knopf
[969]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70] 웹사이트 How Karl Marx Helped Shape the Republican Party https://www.counterp[...]
[971] 서적 International Publishers
[972] 서적 The Elections in England – Tories and Whigs International Publishers
[973] 웹사이트 Marx & Engels Collected Works, vol.41 https://ia801605.us.[...]
[974] 서적
[975] 서적 International Publishers
[976] 서적 The Eighteenth Brumaire of Louis Napoleon International Publishers
[977] 서적 Karl Marx: A Nineteenth-Century Life
[978] 서적 Karl Marx: A Nineteenth-Century Life
[979]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80] 서적 The Paper: The Life and Death of the New York Herald Tribune Alfred A. Knopf Publishing
[981] 서적 The Civil War in France International Publishers 1986
[982] 서적 Economic Manuscripts of 1857–1858 International Publishers 1986
[983] 서적 Economic Manuscripts of 1857–1858 International Publishers 1987
[984] 서적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nternational Publishers
[985]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986]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35
[987] 서적 Labour Defended against the Claims of Capital 1825
[988] 서적 Capital II: The Process of Circulation of Capital International Publishers 1997
[989] 서적 Capital III: The Process of Capitalist Production as a Whole International Publishers 1998
[990] 서적 Theories of Surplus Value International Publishers 1988
[991] 서적 Theories of Surplus Value International Publishers 1989
[992] 서적 Theories of Surplus Value International Publishers 1989
[993] 웹사이트 Economic Works of Karl Marx 1861–1864 https://www.marxists[...]
[994]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30
[995] 서적 Collected Works Volume 46 International Publishers 1992
[996] 서적 First draft of letter to Vera Zasulich [1881]
[997] 서적 Marx a very short introduction 2000
[998] 뉴스 The Means of Reproduction https://www.nytimes.[...] 2011-09-25
[999]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x https://www.google.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5-30
[1000] 서적
[1001] 서적
[1002] 서적
[1003] 서적
[1004] 서적
[1005] 서적 Wheen 2001 https://books.google[...]
[1006] 웹인용 The posthumous life of Karl Marx, Highgate Cemetery http://thelondondead[...] 2015-07-14
[1007] 서적 Hobsbawm 2011
[1008] 서적 Marx's Associated Mode of Production: A Critique of Marxism Springer 2016
[1009] 서적 Why Marx Was Right Yale University Press 2011
[1010] 서적 Marx's Fa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8
[1011] 웹인용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Dead: Marx's Vampires http://ricardo.ecn.w[...] 2019-03-01
[1012] 서적 Divergent Paths: The Hegelian foundations of Marx's method https://archive.org/[...] Lexington Books 2006
[1013] 서적 Karl Marx: A Nineteenth-Century Life
[1014] 서적 French Political Thought from Montesquieu to Tocquevill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015] 서적 Capital: A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Modem Library 1906
[1016] 논문 The labour-process and the process of producing surplus-value http://www.marxists.[...] Marxists.org 2010-10-20
[1017] 논문 Critique of Hegel's dialectic and philosophy in general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1018] 논문 Marxian alienation and economic organisation: An alternate view
[1019] 논문 Desir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020] 논문
[1021] 논문
[1022] 논문
[1023] 서적 Main currents of Marxism: the founders, the golden age, the breakdown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mpany 2011-03-08
[1024] 논문 Introduction to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Right http://www.marxists.[...]
[1025] 웹인용 헤겔 법철학의 비판을 위하여, 서설 https://www.marxists[...] marxists.org
[1026] 문서 공산당 선언, 자본론 제1권
[1027] 연설 Inaugural Address of the International Working Men’s Association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